2006-08-17 | 마이클 그레이브스, 의료기기 디자인 계획 밝혀

Editor’s Comment

“어떤 제품의 사용과정이 ‘악전고투’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멤피스 그룹의 일원이자 또 알레시의 주전자로도 친숙한 건축가 겸 제품 디자이너 마이클 그레이브스가 2006년 의료기기를 디자인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그의 계획은 2009년 의료 기술 회사인 스트라이커와의 협업으로 이어졌습니다. ‘병실용 가구’ 시리즈와 ‘프라임 TC’ 휠체어가 바로 그 결실이죠.

저명한 포스트모던 건축가로 또 제품 디자이너로 40여년 간 활약해온 미국의 디자이너 마이클 그레이브스. 그가 의료기기 디자인 계획을 밝혔다. 2003년 감염 사고 때문에 하반신 마비를 겪게 된 이후 줄곧 휠체어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큼, 그가 이와 같은 결정에 도달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난관과 불쾌한 경험의 연속이었을지 상상할 수 있으리라. 

<비즈니스위크>와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기존의 의료 기기가 다른 분야의 디자인에 비해 너무도 뒤떨어져있는 상태라고 토로하며, 의료기기 디자인에도 기능적이며 공학적인 성취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어떤 제품의 사용과정이 ‘악전고투’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정말 최고급 기기를 소유한 몇몇 사람을 제외하고는 정말 무릎 꿇고 제발 제대로 작동하기를 기도하고픈 때가 많거든요.”

무엇보다도 우선 의료기기 디자인에 있어 시급한 문제는 기능성과 사용자 편의성이다. 말하자면 ‘컬러와 모양만으로도 사용 방법을 알 수 있는 그러한 제품’이 필요한 셈이다. 또한 그는 이러한 제품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미덕에 관해서도 덧붙였다. ‘어떤 기기나 제품이 사용하는 사람의 지병이나 장애를 환기시켜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는 앞으로 목욕 안전 시설 등을 비롯, 생활 속에 필요한 각종 보조 용품의 디자인을 계획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휠체어나 스쿠터와 같은 이동 기기 분야에 ‘혁명’을 불러 일으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위대한 노건축가가 장애와 세월에 맞서는 법, 그것은 역시 ‘디자인’이었다.

[Business Week] Michael Graves’ New Target: Medical Devices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06-08-14/michael-graves-new-target-medical-device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2-08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패럴림픽 시상대 디자인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5일째인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12년 전 밴쿠버 동계올림픽의 시상대 디자인을 다루었습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에서 나고 자란 목재와 밴쿠버 출신의 디자이너와 목공들이 함께 지역의 산세를 닮은 시상대를 만들어냈지요.

낫플라 페이퍼: 해조류 부산물로 만든 종이

영국의 친환경 패키지 브랜드 ‘낫플라(Notpla)’는 해조류를 사용해 패키지 박스나 봉투에 사용될 종이를 제작했다. 생분해성...

2011-07-06 | 영수증 다시 보기

2011년 〈아이콘〉 매거진 97호에서 ‘다시 생각해 본’ 대상은 영수증입니다. 보통은 들여다 볼 일 없는 이 작은 종이 조각을, 런던의 디자인 컨설턴시 버그는 정보 매체로 보았습니다. 버그가 디자인한 가상의 식당 영수증에는 응당 담겨야 하는 정보 외에도, 꼭 필요하지 않아도 읽어볼 만한 거리들이 담겨 있습니다. 가령 당신이 먹은 음식이 하루 중 언제 가장 잘 나가는지, 영양성분은 어떤지, 또 식당 주변의 가볼 만한 전시 정보라던지요. (...)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