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후 구현된 디자인, 센토3(CENTO3)

건축가 아킬레 카스틸리오니(Achille Castiglioni)와 잔프란코 카발리아(Gianfranco Cavaglià)가 2001년에 디자인했던 필기구가 20년이 지난 후 센토3(CENTO3)라는 이름으로 구현됐다. 카스틸리오니의 자녀인 조반나 카스틸리오니와 카를로 카스틸리오니가 밀라노에 있는 카스틸리오니 작업실에서 미공개 디자인의 목재 프로토타입들을 발견하면서, 역사에 묻혀버릴 디자인을 되살린 것이다. 목재 프로토타입들 중 샤프펜슬, 아트펜슬, 만년필 3가지가 제작되었다.

아킬레 카스틸리오니 & 잔프란코 카발리아, 센토3, 2021. ⓒ EGO.M
센토3의 프로토타입과 생산 제품, 2021. ⓒ EGO.M

센토3의 설계와 생산은 이탈리아 디자인 스튜디오 이고.엠(EGO.M)이 진행했다. 센토3는 삼엽 모양의 독특한 형태로, 생산 과정이 복잡한만큼, 세 손가락으로 잡기 편한 인체공학적 디자인이다. 잔프란코 카발리아는 원형 펜과 달리 테이블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각진 형태로 디자인했던 것을 흥미로운 부분으로 꼽았다.

이고.엠은 흑연에서 추출된 그래핀 소재로 센토3를 3D프린팅했다. 그래핀은 0.3나노미터(nm)의 얇은 두께로 다이아몬드처럼 단단하면서, 플라스틱 같은 유연함도 갖고 있다. 세 가지 펜의 디자인은 모두 ‘쓰는 것’이라는 공통 컨셉에서 출발했다.

(위에서부터) 만년필, 아트펜슬, 샤프펜슬 ⓒ EGO.M

egoundesign.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Summer 2021, Volume 37, Issue 3

2021년 여름 <디자인 이슈>는 크게 정치적인 것(the political)에 관한 연구 세 편과 현실 정치(및 경제 politics and economy) 관련 글 세 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011-10-04 | 이리스 판 헤르펀: ‘카프리올레’ 컬렉션

“테크광들의 알렉산더 맥퀸.” 이리스 판 헤르펀의 2012 F/W 컬렉션을 두고 <패스트 컴퍼니>가 선사한 표현입니다. 실제로 알렉산더 맥퀸에서 인턴 생활을 한 적이 있음을 생각하면 또 재미 있는 표현이지요. 2010년 패션에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의상들을 선보였던 그가 본격적으로 그 가능성을 펼쳐보였던 2011년의 ‘카프리올레’ 컬렉션을 다시 만나봅니다.

2011-11-18 | 테렌스 콘란 – 지금 우리의 생활 방식

2019년에는 더 콘란숍의 한국 매장 오픈 소식이, 2020년에는 테렌스 콘란 경의 타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2021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시간을 되돌려, 지난 2011년 열린 ‘테렌스 콘란 – 지금 우리의 생활 방식’ 전시를 살펴봅니다. 오랜 후원자 테렌스 콘란을 위한 디자인 뮤지엄의 헌정 전시라고 할까요. 전시는 디자이너로서 또 사업가로서 전후 영국의 라이프스타일 형성에 기여했던 테렌스 콘란의 생애와 이력을 돌아봅니다.

2006-12-06 | 톰 딕슨과 라코스테의 만남

푸마와 마르셀 반더르스 그리고 라코스테와 톰 딕슨. 패션 브랜드가 패션 바깥의 디자이너에게 협업을 청했던 2006년의 소식들입니다. 라코스테가 매년 패션계 바깥의 디자이너와 함께 클래식 폴로 셔츠의 재해석을 진행하기로 하고 찾은 첫 번째 인물이 바로 톰 딕슨입니다. 그는 소재와 기술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렇게 ‘에코 폴로’와 ‘테크노 폴로’가 탄생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