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2 | 헬라 용에리위스 전시회 ‘자연 디자인 선생’

Editor’s Comment

개구리가 테이블이 되고 꽃병만이 아니라 꽃까지도 디자인했던 헬라 용에리위스의 2009년 4월 크레오 갤러리 전시 소식입니다. 올해에는 ‘직조된 우주’라는 이름의 전시가 베를린 그로피우스 바우에서 개막을 앞두고 있으니,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하는 직조의 힘과 가능성을 시험합니다. 참고로 2021년의 전시에서도 2009년의 ‘개구리 테이블’이 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헬라 용에리위스, ‘개구리(Frog)’ 테이블, 2009 – 8점의 디자이너 서명 한정 작품 
image ⓒ fabrice gousset, courtesy galerie kreo 

헬라 용에리위스의 신작 전시회가 4월 4일 파리 크레오 갤러리(Galerie Kreo)에서 개막한다. ‘자연 디자인 선생 (Natura Design Magistra)’이라는 이름으로 묶인 테이블, 꽃병 등의 신작이 이번 전시를 통해 선보인다. 

테이블, 꽃병… 모두 매우 익숙한 아이템이지만, 막상 공개된 작품의 모습은 놀라움을 선사하기에 충분하다. 동물이 된 테이블, 조화와 결합된 꽃병 등 이번 신작에서는 그 동안 그녀의 디자인에서 보기 힘들었던 ‘자연’이라는 주제가 전면에 드러난다. 


헬라 용에리위스, ‘거북이(Turtle)’ 커피 테이블, 2009 
image ⓒ fabrice gousset, courtesy galerie kreo

마치 물에서 올라온 듯 푸른 투명 에나멜을 절반 정도 뒤집어쓴 개구리가 테이블과 하나가 되고, 여러 색의 레진 층겹으로 탄생한 거북이가 테이블 상판을 받치고 있다. 꽃병에는 조화까지 꽂혀 있는데, 생화를 모사하는 것이 제 1의 목표인 여느 조화와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말 그대로 꽃까지 ‘디자인했다’라고 보는 편이 적절하다. 

헬라 용에리위스의 조화와 꽃병 시리즈 
image ⓒ morgane le gall, courtesy galerie kreo

이처럼 “꽃 한 송이가 곧 디자인이 되고, 테이블이 개구리가 되는” 작품들을 통해, 헬라 용에리위스는 자연을 주제로 한 실험적인 시도를 보여주는 한편, 그녀의 작업을 관통해 온 오랜 관심사들 – 수공예와 산업 기술의 조화, 이야기로 가득한 서사적 디자인과 같은 특징 역시 유감 없이 보여준다. 헬라 용에리위스의 흥미로운 신작 전시회 ‘자연 디자인 예술’은 오는 5월 30일까지 크레오 갤러리에서 계속된다. 

www.jongeriuslab.com
www.galeriekreo.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19 | 테크노크래프트 전시 개막

2010년 전시 ‘테크노크래프트’는 만들기라는 오래된 행위의 새로운 양상들과 그것이 불러온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작년 5월 18일자 기사에서 그 내용을 소개했었죠. 오늘자 뉴스는 개막 이후 전시 현장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2008-05-02 | 가구로 다시 만나는 그녀, 발렌티나

무성영화 시대의 배우 루이즈 브룩스를 빼어닮은, 핫셀블라드를 든 사진가인 그녀는 관능, 희열, 백일몽, 사도마조히즘의 위험한 여정을 걸어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만화가 귀도 크레팍스의 대표작 〈발렌티나〉의 이야기입니다. 1965년에 태어난 발렌티나 시리즈는 1980년에 막을 내렸고, 작가 귀도 크레팍스도 2003년 세상을 떠났지만, 이 유명한 여인은 책을 떠나 2008년에는 가구의 모습으로 2017년에는 벽지의 모습으로 다시 찾아왔습니다. 

2006-08-16 | 헬베티카 5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2006년 8월, 게리 허스트윗은 이후 ‘디자인 3부작’의 시작이 될 다큐멘터리의 후반 작업에 한창이었습니다. 다가오는 2007년 ‘헬베티카’의 탄생 50주년을 맞아, 그는 어떻게 이 하나의 서체가 전 세계 생활 풍경의 일부가 되었는지를, 세계 곳곳에 거주하는 헬베티카의 모습과 디자이너들의 인터뷰를 통해 담아냅니다. <헬베티카>는 2009년 디자인플럭스와 한국디자인문화재단이 연 작은 영화제의 상영작이기도 했는데요. 신작과 함께 게리 허스트윗 감독이 한국을 찾아, <헬베티카>와 <오브젝티파이드> 두 편의 작품으로 극장에서 관객과 만났습니다.

일상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지난 몇 년 사이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 이라는 용어는 디자인계에서 중요한 화두로 부상했다. 바이오필릭...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