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꿀벌을 위한 벌집 디자인

자연 속에 설치된 하이브, 2020 © HIIVE

‘꿀벌의 멸종은 곧 인류의 멸망이다’라는 얘기를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지구에 존재하는 식물의 수분(受粉)은 80% 이상이 꿀벌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양봉가는 매해 겨울을 지날 때마다 꿀벌을 잃어가고, 꿀벌의 개체 수 감소는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다. 멸종 위기에 선 이 중요한 작은 동물을 인간이 끝없이 착취하기 때문이다.

‘하이브(HIIVE)’는 독일의 산업 디자이너 필립 포타스트와 사업 개발자 파비안 비슈만이 ‘벌을 위해’ 만든 집이다. 이 벌집은 꿀벌의 복지를 고려하지 않는 기존의 벌통을 대체할 수 있는 발명품이다.

하이브는 나무에 달린 야생 벌집의 성능을 거의 완전하게 재현하게끔 내부가 설계되었다. 기본적으로 이 벌집은 온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안정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양봉가는 내장된 센서를 통해 모니터링과 데이터 수집을 하면서, 화학 물질 없이, 병충해로부터 꿀벌을 지켜낼 수 있다. 이 자연 친화적인 벌집 덕분에 꿀벌은 건강하고 행복한 생을 영위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재활용 소재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양모, 찰흙, 나무, 나무껍질 등을 사용하여 벌집 자체의 친환경성도 추구했다.

“처음에는 그저 좀 더 경제적인 벌통을 만들려고 연구를 시작했다. 하지만 실제 양봉가가 작업하는 것을 옆에서 관찰하면서 우리는 꿀벌이 어떤 취급을 당하고 있는지 알게 되었고 충격에 빠졌다. 그리고 양봉에 있어 경제성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발견했다” 포타스트와 비슈만은 하이브의 설립 배경을 이렇게 설명하며, 그동안 무시되어 왔던 꿀벌의 복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하이브에 들어가는 꿀벌의 모습. 2020 © HIIVE

hiive.eu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2006-12-21 | 미국 TV 애니메이션의 대부, 조셉 바베라 타계

영원한 앙숙 〈톰과 제리〉는 오랜 단짝의 손에서 태어났습니다. 윌리엄 해너와 조셉 바베라, 두 사람은 애니메이션이 개봉의 시대에서 방영의 시대로 넘어가던 1950년대, 해너-바베라 프로덕션을 설립하며,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우주 가족 젯슨〉 등 지금도 사랑받는 TV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선보였습니다. 2001년 윌리엄 해너가 세상을 떠나고 2006년 조셉 바베라도 타계하였지만, 이 전설적인 듀오의 작품은 수많은 이의 유년 시절과 함께 했고 또 여전히 함께 하고 있습니다. 

2007-08-13 | 알루미늄 아이맥

2007년은 아이맥이 처음으로 알루미늄 몸체를 갖게 된 해입니다. 형태 면에서 G5부터 이어져 온 모니터 형태의 일체형 디자인을 이어가되, 재질 면에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과 완전히 단절하고 알루미늄으로 넘어왔습니다. 올해 애플 자체 프로세서인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새 아이맥이 등장하기 전까지, 은색 알루미늄 바디와 검은색 배젤 그리고 전면 하단 로고가 아이맥 하면 떠오르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직은 기존의 인텔 아이맥과 색색의 실리콘 아이맥이 공존하고 있지만, 머지 않아 과거의 것이 될 ‘그’ 아이맥의 시작으로 돌아가봅니다.

2010-04-07 | 아이와 함께 가는 카페

어린이를 환영하지 않는다고, 그것이 이곳의 방침이라고 말하는 장소들이 있습니다. 어린이가 출입해서는 안될 장소는 물론 있고 또 있어야 하겠지만, 그곳이 식당이고 카페라면 그래도 괜찮을지요. 곳곳에 노키즈존이 자연스레 자리한 지금, 2010년의 ‘베이비 카페’ 소식을 되돌아봅니다. 물론 어린이와 보호자를 정확히 겨냥한 가게라는 점에서, 어린이도 환영한다는 예스키즈존과는 결이 다른, 그러니까 그냥 키즈존 개념에 가까운 카페입니다. 그리고 넨도는 이러한 기조를 아주 큰 것과 아주 작은 것으로 공간 디자인에 구현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