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지난 행보를 상기하는 달력 ‘Everyday Blues’

에브리데이 블루스(Everyday Blues), 2021. © Oriel Irvine-Wells

영국의 크리에이티브 그룹 케셀크레이머(KesselsKramer)가 달력 프로젝트의 결과물 ‘에브리데이 블루스(Everyday Blues)’를 선보였다. 오리얼 웰스(Oriel Wells)가 기획하고 12명의 시각 분야 예술가들이 참여한 이 프로젝트는 2021년 영국 정부의 행보를 기록한 2022년 달력이다.

사회에서 발생한 대다수의 사건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잊히기 마련이다. ‘에브리데이 블루스‘는 영국 정부가 행한 거짓말・비리・부정부패, 그리고 그것과 관련된 사건을 다룬 기사의 헤드라인을 1년 뒤 같은 날 보여준다. 오리얼 웰스는 이 달력이 1년 전 상황을 상기시키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동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가령 7월 27일에는 ‘정부 대변인은 기후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그릇을 헹구지 않을 것을 권장했다(Govt. spokesperson advised alleviating climate concerns by not rinsing plates)’라는 헤드라인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가정 내에서 할 수 있는 친환경적 실천으로 식기세척기에 그릇을 헹구지 않고 넣을 것을 제안한다는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기사와 연관된다. 이 실천 방안을 언급한 영국 총리 전 공보비서 알레그라 스트래튼(Allegra Stratton)은 2021년 11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 참석한 후 개인 전용기를 타고 돌아오면서 대중에게 많은 비난을 받은 바 있다.

달력 제작에 참여한 12명의 그래픽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회화・사진 작가들[1]은 정치인들의 부조리・기후 재앙・난민 문제 등을 주제로 한 작품, 또는 대안적 미래를 상상한 작품을 삽화에 활용하도록 기부했다. 달력 디자인은 샬롯 쿠시(Charlotte Khushi)가 맡았다.

출처: IN PERPETUUM PUBLISHING

‘에브리데이 블루스 2022’는 현재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Perpetuum’에서 구매할 수 있다. 케셀크레이머는 달력 판매 수익을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 단체, 성전환 청소년 및 트랜스 젠더 청소년 지원 단체, 난민 지원 단체 등 사회 활동 단체에 전달할 예정이다.

[1] Morgan Harries, Jack S, Guy Sexty, Mernywernz, Heedayah Lockman, Marta Zenka, Joe Kibria, Issey Medd, Indrė Šimkutė, Sophie Bass, Rachael House and Black Lodge Press

www.itsnicethat.com

in-perpetuum.com

© designflux2.0.co.kr

이지원


이지원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자인사 자료 수집을 위한 구술 연구의 방향 모색》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오늘날 비주류로 분류되는 담론 내 미시사에 관심을 두고 이를 실천적 방법으로 전달하는 작업을 실험한다. 디자인 스튜디오 겸 출판사인 아키타입(archetypes)을 운영하며 저술과 출판 활동 등을 통해 책과 기록물을 만들고 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1-07 | OMA,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의 실패를 말하다

1995년 처음 열린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가 벌써 26차를 지났습니다. 지난 11월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은 그러나 기대 이하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라는 목표는 감축으로 완화되었고, 결국 탈석탄 성명에는 미국, 인도, 중국, 호주, 일본 등 석탄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서명이 빠졌습니다. 문제는 초국가적인데 해결의 단위는 국가라는 점이 문제일까요? 2009년 COP15의 ‘실패’에 관해 OMA의 레이니어르 더 흐라프는 그렇다고 보았습니다. 

〈디자인 스터디즈〉(Design Studies) 인류학적 디자인, 디자인 인류학의 연구들

인류학은 인간 보편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다양하고 특수한 민족지(知)를 구성함으로써 문명적 인간의 모순을 드러내고 성찰하는...

2009-08-26 | 토털 리콜, 데이터에 담긴 일생

한 사람의 인생을 전자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소속 컴퓨터과학자 고든 벨은 이를 목표로 1998년부터 자신의 삶을 디지털 아카이브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말하자면 삶을 “e-기억”의 대상으로 전환하기 시작한 것이죠. 그렇게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와 다면적 분류 방식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 기억”. 고든 벨과 짐 게멜의 서적 『토털 리콜』은 질문합니다. “만일 우리가 살아가며 노출되었던 그 모든 정보에,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것인가?”

영상은 덤, 바코드 우표 디자인

영국의 우편 서비스 회사 로열 메일(Royal Mail)에서 2차원 바코드를 도입한 새 일반 우표 디자인을...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