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시애틀 NFT 뮤지엄’

시애틀 NFT 뮤지엄의 외관, 2022. © Seattle NFT Museum

세계 최초로 NFT 작품만 전시하는 뮤지엄, 시애틀 NFT 뮤지엄(Seattle NFT Museum, SNFTM, 시애틀 벨타운)이 지난 2022년 1월 개관했다. 뮤지엄에서는 NFT의 개념과 잠재력을 소개하는 상설 전시와 함께 개관 전시(1월 27일-2월 25일)가 진행되고 있으며, 맞춤 제작된 30개의 스크린을 통해 디지털 아트와 컬렉션 작품들이 선보이고 있다. 전시 기간 중에 NFT 라이브 이벤트와 NFT 교육 프로그램도 진행될 예정이다.

NFT 상설 전시를 보는 관람객, 2022. © Seattle NFT Museum

NFT는 2021년 상반기 동안에만 25억 달러(약 3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예술 및 디지털 자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애틀 NFT 뮤지엄에서는 특히 현재 NFT에서 가장 판매량이 높은 컬렉션, 스포츠, 예술 등 세 가지 범주를 주로 다룬다.

이 뮤지엄이 제공하는 물리적 환경에서 예술가, 크리에이터, IP 소유주, 수집가들은 자신의 NFT 작품을 전시하는 기회를 갖는다. 그리고 관람객은 뮤지엄이라는 물리적 공간에서 디지털 아트를 보며 NFT 경험의 기초를 쌓고, 향후 NFT의 모습에 대해 상상하게 된다.

시애틀 NFT 뮤지엄의 운영 방식은 전통적인 미술관보다는, 15달러의 입장료를 받는 비영리 전시 공간에 가깝다. 그리고 이곳에서는 상업 갤러리처럼 작품의 거래가 이루어지지만, 전시 공간 대관료는 받지 않으며, 컬렉션을 통해 예술 작품을 영구 소장하지도 않는다. 대신 NFT 작품들을 아티스트나 수집가들로부터 직접 대여한 후 전시하는데, 물론 여기에서는 전통적인 미술관이나 갤러리의 물질적 전시에서 요구되었던 모든 복잡한 과정(운송 등)이 생략된다.

시애틀 NFT 미술관 개관 전시 풍경 (설치 스크린 작품들), 2022. © Seattle NFT Museum

시애틀 NFT 뮤지엄은 ‘예술 애호가’인 기술 전문 기업가 제니퍼 웡과 피터 해밀턴이 공동으로 설립했다. 해밀턴은 이 뮤지엄에 대해 “현재 개발되고 있는 예술과 기술의 폭을 보여주고, 새로운 영역과 범주를 탐구하며, 대중에게 NFT라는 매체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이라고 정의하면서, 이를 통해 디지털 아트와 NFT 커뮤니티를 한 자리에 모으고, NFT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한편, 시애틀 NFT 뮤지엄은 지속가능성 추구에 전념한다. 지속가능성을 위해 NFT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최신 기술을 개발 중이며, 뮤지엄으로는 최초로 2040 탄소중립 기후 서약(The Climate Pledge)에 참여했다.

seattlenftmuseum.com
artnet.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9-07 | 신규 소장품입니다

2010년 미국의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새로운 소장품 다섯 점을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신규 소장품: 디지털 타이포그래피’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다섯 점의 작품들은 이른바 데스크톱-디자인 시대 이후의 작품들이 주를 이루지만, 1960년대 빔 크라우벌이 보여주었던 디지털 시대 이전의 서체 실험까지도 포용합니다.

사물이 말을 한다면 #4 노매드, 스마트폰

오늘로 몇 번째일까? 그 누구라도, 안전 장치 없이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일은 살면서 정말...

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2006-08-08 | 매그넘 인 모션

제2차세계대전이라는 가공할 전쟁이 끝나고 2년 뒤, 4인의 사진가가 사진가들에 의한 사진가들을 위한 협동조합을 설립했습니다. 매그넘 포토스의 사진가들은 이후 세상의 사건, 사람, 장소, 문화를 기록하며 강력한 이야기를 전달해왔죠. 2004년 매그넘은 ‘매그넘 인 모션’을 통해, 사진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더해, 21세기의 포토 에세이를 전하려 했습니다. 비록 매그넘 인 모션은 2008년까지만 운영되었지만, 대신 매그넘 인 모션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였던 클로딘 보글린이 모아둔 ‘매그넘 인 모션 압축판’을 덧붙여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