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싱가포르 ‘동물’원 브랜딩 디자인

만다이의 새 브랜딩 디자인, 2021. © Mandai

싱가포르의 디자인 에이전시 아낙(Anak)은 다섯 개의 야생 공원을 운영하는 만다이 그룹을 위한 브랜딩 디자인을 공개했다. 4년 간의 오랜 작업 끝에 완성된 프로젝트의 이름은 ‘생물다양성 디자인 플레이북(A Design playbook for biodiversity)’이다.

땅의 넓이만 300에이커(1,200제곱미터)에 달하는 세계적인 야생 동물 보호 구역 만다이의 이미지를 탈바꿈시키는 프로젝트를 착수하면서, 아낙은 생물다양성에 대한 일반의 인식 부족을 브랜딩의 문제로 접근했다. 만다이 측에서도 단지 새로운 그림을 요구하는데 그치지 않고, 생물다양성을 선도하는 동물원의 이미지를 구축하기를 원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아낙은 단순하지만 시급한 종합 브랜드 시스템-슬로건으로 ‘살아나다(Come to life)’를 제시했다. 이 문구는 ‘자연을 부활시키자’가 아닌, 생물다양성을 위해 ‘인간이 해야 하는 행동을 재고’하려는 외침이다.

만다이의 광고판, 2021. © Mandai

아낙은 생물다양성이라는 새로운 디자인 전략으로 만다이의 브랜드를 처음부터 재구성했다. 타이포그래피와 어조의 구조적 변화, 이에 부합하는 서체, 열대 지방을 연상시키는 그래픽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등에서 인간과 동물을 동일 선상에 놓고, 인간 주변의 생물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시도했다.

다양한 타이포그래피와 메시지, 2021. © Mandai

로고 디자인은 일러스트레이션 스튜디오 얼웨이즈위드아너와의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생동감 넘치는 야생의 에너지를 담은 로고에는 콜로폰 파운드리(Colophone Foundray) 서체가 사용되었다.

만다이는 이 새로운 시각 언어를 통해 야생(동물원)의 문화와 생물다양성이라는 개념을 잠재적 방문자들에게 제공하고 인간을 자연으로 회귀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만다이의 브랜딩 디자인과 메시지를 보여주는 영상은 이곳에서 볼 수 있다.

branding.news
withanak.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Previous article
Next article

More

2009-05-25 | 디자인과 예술 사이

“디자인은 목적이 있는 표현이고, 만일 충분히 좋은 디자인이기만 하다면 훗날 예술이라 판정될 수도 있다.” 20세기의 거장 찰스 임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리고 21세기 하이메 아욘은 이렇게 이야기하죠. “더 이상 제품디자인과 예술 사이에 명확한 경계란 없다.” 디자인과 예술 사이를 유영하는 정체불명의 오브제들. 이를 조명하는 전시 ‘U.F.O. : 예술과 디자인의 흐릿한 경계’가 2009년 NRW-포럼 뒤셀도르프에서 열렸습니다.

세계 최초 범용 로봇 범니 1.0: CES 2022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2 (1월 5일 – 8일)에 세계 최초 범용 인공지능...

2008-12-01 | 무지 어워드 03 수상작

무지가 주최하는 디자인 공모전, 그 세 번째 수상작들입니다. 오래도록 쓰여온 사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현대의 생활 속으로 옮기는 것, 그리하여 그 오랜 물건의 기원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 무지 어워드 03의 주제였는데요. 그러한 취지를 거의 “언디자인”에 가깝게 밀어붙인, 소박한 밀짚 빨대가 최고상을 수상했습니다. 

2011-07-14 | 도시 별보기

도시의 밤은 너무 밝고, 그 밝음을 이겨낼 별은 많지 않습니다. 프랑스의 디자이너 오스카 레르미트는 그래서 도시의 밤에 인공의 별자리를 선사하기로 했지요. 직경 1mm도 되지 않는 가는 실과 태양광 LED 전구로 디자인한 전에 없던 별자리. 그렇게 레르미트는 ‘도시 별보기’로 런던의 밤에 새로운 별을 수놓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