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 건조실에서 선보인 전시

코로나19로 대부분의 대규모 오프라인 디자인 박람회들이 연기되거나 취소되었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는 여러 방식들이 모색되고 있다.

크로아티아의 가구 브랜드 프로스토리아(Prostoria)는 지난 6월 코로나 19 속에서 관객과 소통하기 위해 ‘리비지팅 팩토리(Revisiting Factory)’라는 제목의 오프라인 전시를 개최했다. 이 전시에서는 가구로 만들어지기 전까지 목재를 보관하는 장소인 프로스토리아의 목재 건조실을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여, 건조 중인 목재와 완성된 디자인 가구를 함께 선보였다. 많은 관람객이 모이는 박람회와 달리 야외 공간이나 관람객 간 충분히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프로스토리아의 대표 토미슬라프 크네조비치(Tomislav Knezovic)는 “지속가능성이 디자인프로세스의 일부”임을 보여주기 위해 목재 건조실을 전시공간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프로스토리아, 리비지팅 팩토리, 2021. © Prostoria

‘리비지팅 팩토리’는 2020년부터 시작된 ‘리비지팅 아날로그(Revisiting Analogue)’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기획된 전시이다. ‘리비지팅 아날로그’ 프로젝트는 지역의 건축 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진행된다. 지난 해 프로스토리아는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크로아티아 도심에서 벗어난 지역에 위치한 프로스토리아 공장 근처 숲 속에 ‘투명 벽’으로 된 컨셉 주택 형식으로 파빌리온을 만들어 선보였다.

2020년의 ‘리비지팅 아날로그’와 2021년의 ‘리비지팅 팩토리’는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 19로 인해 취소된 국제 가구 박람회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등장했다.

프로스토리아, 투명한 벽으로 만들어진 파빌리온(리비지팅 아날로그 프로젝트), 2020. © Prostoria

‘리비지팅 팩토리’ 프로젝트는 2021 독일 브랜드 어워드(German Branding Awards 2021)에서 3개 의 상을 받았다. 특히 국제시장을 활발하게 만드는데 기여한 브랜드에 수여하는 엑설런트 브랜드-인테리어 & 리빙(The Excellent Brands-Interior & Living) 부문을 수상했다.

‘리비지팅 팩토리’와 ‘리비지팅 아날로그’ 프로젝트는 모두 크로아티아-오스트리아계 디자인 그룹인 누먼/포유즈 스튜디오(Numen/ForUse studio)와 산업디자이너 사이먼 모라시 피페치치(Simon Morasi Pipercic)와의 공동작업으로 진행되었다.

prostoria.eu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12-15 | 로고들의 무덤

‘로고 R.I.P.’는 지금은 사라진 그러나 고전이라 할 로고들을 기념합니다. 책으로, 웹사이트로, 또 묘지의 비석으로도 말이지요. 암스테르담에서 브랜딩 컨설턴시인 더 스톤 트윈스를 함께 운영하는 쌍둥이 형제, 데클란 스톤과 가렉 스톤은 AT&T에서 제록스에 이르기까지, 사멸한 로고들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마차 부고 기사 속 생애의 요약처럼요.

2007-08-09 | 앱솔루트 그리치치

지난주에 이어 또 하나의 앱솔루트 관련 소식입니다. 이번에는 앱솔루트가 담겨 나갈 유리잔 이야기인데요. 레스토랑과 바를 위한 이 앱솔루트 글래스웨어의 디자인을 맡은 사람은 콘스탄틴 그리치치였습니다. 한편 이 프로젝트는 디자인 트렌드 블로그 ‘다비드 리포트’의 다비드 카를손이 수퍼바이저로 참여했다는 점에서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2009-08-24 | 필립스, 미래의 식생활을 상상하다

지금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지만, 필립스의 ‘디자인 프로브’는 당대의 사회적 흐름을 주시하여 가능한 미래 생활의 양상을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2009년도의 주제는 ‘음식’이었는데요. ‘디자인 프로브’는 개개인 맞춤형 식생활을 가능케 하는 부엌, 음식을 출력해 내는 프린터, 거실로 옮겨온 텃밭과 양식장이라는 세 가지 미래 식생활의 콘셉트를 제시했습니다. 

2007-02-22 | 벨크로의 힘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