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2 | 헬라 용에리위스 전시회 ‘자연 디자인 선생’

Editor’s Comment

개구리가 테이블이 되고 꽃병만이 아니라 꽃까지도 디자인했던 헬라 용에리위스의 2009년 4월 크레오 갤러리 전시 소식입니다. 올해에는 ‘직조된 우주’라는 이름의 전시가 베를린 그로피우스 바우에서 개막을 앞두고 있으니, 그의 작업에서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하는 직조의 힘과 가능성을 시험합니다. 참고로 2021년의 전시에서도 2009년의 ‘개구리 테이블’이 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헬라 용에리위스, ‘개구리(Frog)’ 테이블, 2009 – 8점의 디자이너 서명 한정 작품 
image ⓒ fabrice gousset, courtesy galerie kreo 

헬라 용에리위스의 신작 전시회가 4월 4일 파리 크레오 갤러리(Galerie Kreo)에서 개막한다. ‘자연 디자인 선생 (Natura Design Magistra)’이라는 이름으로 묶인 테이블, 꽃병 등의 신작이 이번 전시를 통해 선보인다. 

테이블, 꽃병… 모두 매우 익숙한 아이템이지만, 막상 공개된 작품의 모습은 놀라움을 선사하기에 충분하다. 동물이 된 테이블, 조화와 결합된 꽃병 등 이번 신작에서는 그 동안 그녀의 디자인에서 보기 힘들었던 ‘자연’이라는 주제가 전면에 드러난다. 


헬라 용에리위스, ‘거북이(Turtle)’ 커피 테이블, 2009 
image ⓒ fabrice gousset, courtesy galerie kreo

마치 물에서 올라온 듯 푸른 투명 에나멜을 절반 정도 뒤집어쓴 개구리가 테이블과 하나가 되고, 여러 색의 레진 층겹으로 탄생한 거북이가 테이블 상판을 받치고 있다. 꽃병에는 조화까지 꽂혀 있는데, 생화를 모사하는 것이 제 1의 목표인 여느 조화와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말 그대로 꽃까지 ‘디자인했다’라고 보는 편이 적절하다. 

헬라 용에리위스의 조화와 꽃병 시리즈 
image ⓒ morgane le gall, courtesy galerie kreo

이처럼 “꽃 한 송이가 곧 디자인이 되고, 테이블이 개구리가 되는” 작품들을 통해, 헬라 용에리위스는 자연을 주제로 한 실험적인 시도를 보여주는 한편, 그녀의 작업을 관통해 온 오랜 관심사들 – 수공예와 산업 기술의 조화, 이야기로 가득한 서사적 디자인과 같은 특징 역시 유감 없이 보여준다. 헬라 용에리위스의 흥미로운 신작 전시회 ‘자연 디자인 예술’은 오는 5월 30일까지 크레오 갤러리에서 계속된다. 

www.jongeriuslab.com
www.galeriekreo.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해양행 플라스틱으로 만든 에어론 체어

2021년 9월 1일, 허먼 밀러(Herman miller)에서는 앞으로 모든 에어론 체어(Aeron Chair)에 해양행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2010-06-28 | 〈그래픽〉 매거진 발행 중단

〈i.d.〉 매거진이 마지막 호로 작별 인사를 던진 2010년, 또 하나의 디자인 잡지가 기약 없는 휴간이라는 비보를 전했습니다. 영국의 격월간지 〈그래픽〉이 발행사의 경영 악화로 발간을 중단한 것인데요. 편집진의 노력으로 8개월 뒤인 2011년 2월, 새로운 발행사를 맞이하며 새출발을 하였지만, 안타깝게도 2011년 12월 또 다시 폐간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현재 〈그래픽〉은 grafik.net으로 둥지를 옮겨, 격년지로 부활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2010-01-11 | ABCing

글자와 그 네거티브 공간을 뒤섞어, 해당 글자를 머릿글자 삼은 어떤 단어의 의미를 표현합니다. 콜린 엘리스의 〈ABCing, 알파벳 다르게 보기〉는 A부터 Z까지, 글자와 주변 공간을 재구성하여 태어난 24개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2011-01-25 | MoMA, 디지털 서체 23종 소장

2011년 벽두, 디지털 서체가 대거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소장품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헬베티카가 MoMA가 소장한 유일한 디지털 서체였지만, 2011년 1월 24일을 기점으로, 23종의 서체들이 이에 합류했죠. 그중에서도 한때 막강한 듀오였으나 껄끄럽게 결별한 조너선 헤플러와 토바이어스 프레르-존스를 비롯해, 매튜 카터의 서체들이 목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