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꿀벌을 위한 벌집 디자인

자연 속에 설치된 하이브, 2020 © HIIVE

‘꿀벌의 멸종은 곧 인류의 멸망이다’라는 얘기를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지구에 존재하는 식물의 수분(受粉)은 80% 이상이 꿀벌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양봉가는 매해 겨울을 지날 때마다 꿀벌을 잃어가고, 꿀벌의 개체 수 감소는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다. 멸종 위기에 선 이 중요한 작은 동물을 인간이 끝없이 착취하기 때문이다.

‘하이브(HIIVE)’는 독일의 산업 디자이너 필립 포타스트와 사업 개발자 파비안 비슈만이 ‘벌을 위해’ 만든 집이다. 이 벌집은 꿀벌의 복지를 고려하지 않는 기존의 벌통을 대체할 수 있는 발명품이다.

하이브는 나무에 달린 야생 벌집의 성능을 거의 완전하게 재현하게끔 내부가 설계되었다. 기본적으로 이 벌집은 온습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안정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양봉가는 내장된 센서를 통해 모니터링과 데이터 수집을 하면서, 화학 물질 없이, 병충해로부터 꿀벌을 지켜낼 수 있다. 이 자연 친화적인 벌집 덕분에 꿀벌은 건강하고 행복한 생을 영위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재활용 소재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양모, 찰흙, 나무, 나무껍질 등을 사용하여 벌집 자체의 친환경성도 추구했다.

“처음에는 그저 좀 더 경제적인 벌통을 만들려고 연구를 시작했다. 하지만 실제 양봉가가 작업하는 것을 옆에서 관찰하면서 우리는 꿀벌이 어떤 취급을 당하고 있는지 알게 되었고 충격에 빠졌다. 그리고 양봉에 있어 경제성보다 더 심각한 문제를 발견했다” 포타스트와 비슈만은 하이브의 설립 배경을 이렇게 설명하며, 그동안 무시되어 왔던 꿀벌의 복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하이브에 들어가는 꿀벌의 모습. 2020 © HIIVE

hiive.eu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5-11 | 제로 시티

오일 머니가 가능케 한 탄소 제로 폐기물 제로의 도시. 2007년 UAE가 발표한 ‘마스다르 시티’입니다. 아부다비 공항 5분 거리에 세워진 이 신도시는 태양열 발전과 같은 현대의 클린 에너지 기술과 중동의 오랜 쿨링 건축 기법인 윈드 타워가 공존하고, 내연기관 자동차 대신에 대중교통과 소형궤도차, 보행, 자전거 타기를 장려하는 도시로 계획되었습니다. 2007년 포스터+파트너스의 마스터플랜이 공개되고 2008년 착공에 들어간 마스다르 시티는 본래 2020년 완공을 계획하였으나, 2018년 기준으로 25%가 완성된 상태로 아직도 건설 중입니다.

2009-02-11 | AP 통신 vs 셰퍼드 페어리

2008년 미국 대선의 대표적인 이미지라 할 셰퍼드 페어리의 버락 오바마 초상이 이듬해 송사에 휘말렸습니다. 문제는 초상이 AP 통신 소속 사진 기자 매니 가르시아의 사진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소송은 2011년 합의로 마무리 되었는데요. NPR의 보도를 빌리면 합의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7-05-17 | 〈월페이퍼*〉, 100개의 표지

2007년 오늘의 뉴스는 영국의 잡지 <월페이퍼*>의 ‘표지’ 이야기입니다. 100번째 잡지 발행을 맞아, 총 100가지의 표지들을 돌아보는 갤러리를 열고, 그 중 최고의 표지가 무엇인지를 <월페이퍼*>를 만드는 이들에게 묻고 또 <월페이퍼*>를 보는 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아쉽게도 이제는 표지 모음 갤러리도, 독자 투표 페이지도 사라지고 없지만, 여기 스태프들이 꼽은 다섯 개의 표지는 남았습니다.

2011-10-19 | BCXSY의 못

디자인 듀오 BCXSY는 금속과 주조 기술을 활용한 전시에 참여하면서, 이를 못이라는 물건을 다시금 생각할 기회로 삼았습니다. 전시회 ‘자연 복제 #2’에서 그들은 조금 색다른 형태의 못을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탁상과 촛대를 완성했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못이니 만큼, 그 존재를 멋지게 드러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