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행 플라스틱으로 만든 에어론 체어

2021년 9월 1일, 허먼 밀러(Herman miller)에서는 앞으로 모든 에어론 체어(Aeron Chair)에 해양행 플라스틱[1]을 포함하여 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허먼 밀러는 해양행 플라스틱(Ocean Bound Plastic (OBP)) 의 공급망을 구축하는 기업들의 콘소시엄인 넥스트웨이브(NextWave)에 합류하여 해양행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는데 동참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2030년까지 허먼 밀러에서 제작하는 모든 가구에 해양행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재활용 소재 활용률을 최소 50%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오닉스 울트라 매트(Onyx Ultra Matte) 색상의 에어론 체어 ⓒ Herman miller

이번에 새로 선보인 오닉스 울트라 매트 색상의 에어론 체어에는 현재 제작되는 4가지 에어론 체어 중 가장 많은 해양행 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점차 다른 색의 에어론 체어와 세일 체어(Sayl Chair), 포장재, 배송 상자에도 해양행 플라스틱의 사용을 늘려 나갈 계획도 가지고 있다. 에어론 체어에 사용되는 해양행 플라스틱은 넥스트웨이브가 구축하고 있는 생산 지역 중 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폐플라스틱 재활용으로 연간 150톤 이상의 해양행 플라스틱, 약 1,500만 개의 일회용 플라스틱 물병에 해당하는 폐기물의 수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가지 색상의 에어론 체어 ⓒ Herman miller
수집된 해양행 쓰레기 ⓒ Herman miller

[1] 해안선 50km 이내 육지에 있지만 관리되지 않아서 아직 수거되지 않았고 앞으로 수거될 가능성도 없어서 바다로 흘러들 가능성이 높은 플라스틱.

Hermanmiller.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7-21 | 드로흐 ‘기후’ 공모전 수상작

드로흐가 주최했던 ‘기후’ 공모전의 수상작은 여러 모로 영리합니다. 1937년 첫선을 보인 알바르 알토의 그 꽃병과 그 디자인에 영감을 준 핀란드의 호수들. 얀 츠트브르트니크는 여기에서 출발하여, 핀란드에 실재하는 알토라는 이름의 호수가 1937년부터 2007년까지 거친 형태의 변화를 꽃병 디자인으로 형상화했습니다. 1937년의 모습이 꽃병의 외곽선을, 메말라 줄어든 2007년의 모습이 내곽선을 이루도록요. 그래서 이름도 ‘드로흐 알토’입니다. 마르다라는 뜻의 드로흐와 꽃병이자 호수인 알토로 기후 변화라는 주제를 담아냈지요.

2009-01-06 |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새 웹사이트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첫 웹사이트 리뉴얼의 핵심은 ‘아카이빙’이라 하겠습니다. 그간의 작업 전체를 망라한다는 것은 실패작까지도 포함한다는 뜻이고, 익스페리멘털 젯셋은 이를 두고 “일종의 아카이브 몬스터”라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개별 작업은 ‘아카이브’ 메뉴의 텍스트형 목록과 ‘프리뷰’ 메뉴의 이미지형 목록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는 2022년 지금의 홈페이지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지요. 

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먼 기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팬톤, ‘홍콩 트램 그린’

지난 7월 팬톤과 홍콩 트램웨이즈(HK TRAMWAYS)가 협력하여, 홍콩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트램의 초록색...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