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로 그려낸 록 음악 계보

얼터너티브 태양계, 2021. © Dorothy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현대 팝, 록 음악의 계보는 다양한 형식의 다이어그램으로 묘사되어 왔다. 얼마전 영국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도로시(Dorothy)에서는, 현대 음악을 태양계의 형태를 빌어 관계망을 묘사한 얼터너티브 태양계(Alternative solar system) 포스터를 공개했다. 과거의 다이어그램들에 비해 태양계를 바탕으로 한 이 다이어그램은 장르의 분화, 세부 장르가 확장된 양상을 보다 선명히 보여준다.

태양과 달 주변을 도는 행성의 궤도와 마찬가지로, 이 얼터너티브 태양계에서는 중심에서 빛을 발하는 비틀즈를 시작으로 벨벳 언더그라운드, 펑크 록 밴드 라몬즈 등이 궤도를 형성하고, 각 밴드의 행성 주변에는 그들의 영향을 받은 다른 밴드들 즉 소행성들이 위치해 있다.

얼터너티브 태양계 중심에 위치한 비틀즈, 2021. © Dorothy

이 태양계 중심에는 비틀즈가 위치하고, 바로 그 주위에 롤링스톤즈, 핑크 플로이드, 벨벳 언더그라운드, 데이비드 보위가 중심부 궤도를 맴돌고 있다.

중심에서 조금 떨어진 여섯 번째 궤도에는, 고리를 가진 펑크 행성, 라몬즈가 공전하고 있고, 그 주위에 뉴욕 돌스, 텔레비전, 토킹 헤즈, 패티 스미스, 블론디가 행성계를 이룬다. 태양계 끝자락에 다다르면 픽시스, 브리더즈, 소닉 유스 등이 모여 있는데, 이들의 중심에 자리한 너바나를 발견할 수 있다.

(좌) 라몬즈 주변의 행성들, (우) 태양계 끝자락에서 빛나는 너바나 2021. © dorothy

태양계 전체를 크게 선회하며 자신만의 궤도를 그리고 있는 전설의 기타리스트 지미 핸드릭스는, 록의 클래식을 구축한 레드 제플린, 크림, 야드버즈의 궤도를 가로지르며 불타오르는 혜성으로 그려졌다.

지미 핸드릭스 혜성과 레드 제플린 행성, 2021. © Dorothy

Wearedorothy.com

© designflux2.0.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7-12 | ATM 리디자인

은행 창구 직원의 업무 상당 부분이 ATM으로 옮겨 갔죠. 그렇게 은행의 셀프서비스에 있어 핵심이 된 ATM은 그동안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사용자 인터랙션 면에서도 그랬다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IDEO는 스페인 은행 BBVA와 함께 ATM의 리디자인에 나섰고, 2년의 개발 과정을 거쳐 2010년 그들의 ATM이 공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 이 기기는 iF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어워즈 ‘제품 인터페이스’ 부문을 수상했지요.

2010-03-11 | 책이 된 우표

2008년 말 네덜란드의 우체국 로얄 TNT는 디자이너 리카르트 휘턴에게 우표 디자인을 의뢰합니다. 이듬해에는 그것이 ‘북위크 기념 우표’면 좋겠다고 덧붙였죠. 그리하여 책을 닮은 우표가 태어났습니다. 북위크(Boekenweek)라는 단어를 책으로 만들어 그 사진을 표지로 삼아, 8페이지 분량의 책 모양 우표를 만든 것이죠. 실제로 500 단어 분량의 짧은 이야기가 담겼습니다.

2009-09-01 | 2009 인덱스 어워드 ‘일’ 부문 수상작: kiva.org

1년 전 오늘 인덱스 어워드의 ‘놀이’ 부문 수상작에 이어, 이번에는 ‘일’ 부문을 수상한 kiva.org를 다시 만나봅니다. 키바는 마이크로 파이낸스 사이트입니다. 삶을 바꾸기 위한 씨앗 자금이 필요한 사람과 이에 돈을 빌려줄 사람을 연계합니다. 한 사람이 빌려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25달러. 물론 기부가 아니라 엄연한 대출입니다. 그렇게 모인 금액이 누군가에게는 배달용 밴을 구입 대금이, 누군가의 대학교 학비가, 누군가에게 여성 수공예인을 한 명 더 채용할 자금이 되죠. 키바는 지금도 운영 중이고, 대출 상환률은 96%이라고 합니다. 

2021-11-15 | 디터 람스의 ‘620 체어 프로그램’ 재탄생

언제부터인가 디터 람스의 디자인을 수집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니, 오래된 시계, 전축 시스템, 의자, 선반이 어느 집, 어느 카페 사진 속에서 발견되곤 합니다. 디터 람스의 이름과 떼놓을 수 없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그가 40년을 몸담았던 브라운과 더불어, 비초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1960년대, 그러니까 비초에가 비초에+차프였던 시절에 디터 람스가 디자인한 선반, 의자, 테이블은 비초에라는 브랜드의 존재 이유와도 같은 무엇이 되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