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로 그려낸 록 음악 계보

얼터너티브 태양계, 2021. © Dorothy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현대 팝, 록 음악의 계보는 다양한 형식의 다이어그램으로 묘사되어 왔다. 얼마전 영국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도로시(Dorothy)에서는, 현대 음악을 태양계의 형태를 빌어 관계망을 묘사한 얼터너티브 태양계(Alternative solar system) 포스터를 공개했다. 과거의 다이어그램들에 비해 태양계를 바탕으로 한 이 다이어그램은 장르의 분화, 세부 장르가 확장된 양상을 보다 선명히 보여준다.

태양과 달 주변을 도는 행성의 궤도와 마찬가지로, 이 얼터너티브 태양계에서는 중심에서 빛을 발하는 비틀즈를 시작으로 벨벳 언더그라운드, 펑크 록 밴드 라몬즈 등이 궤도를 형성하고, 각 밴드의 행성 주변에는 그들의 영향을 받은 다른 밴드들 즉 소행성들이 위치해 있다.

얼터너티브 태양계 중심에 위치한 비틀즈, 2021. © Dorothy

이 태양계 중심에는 비틀즈가 위치하고, 바로 그 주위에 롤링스톤즈, 핑크 플로이드, 벨벳 언더그라운드, 데이비드 보위가 중심부 궤도를 맴돌고 있다.

중심에서 조금 떨어진 여섯 번째 궤도에는, 고리를 가진 펑크 행성, 라몬즈가 공전하고 있고, 그 주위에 뉴욕 돌스, 텔레비전, 토킹 헤즈, 패티 스미스, 블론디가 행성계를 이룬다. 태양계 끝자락에 다다르면 픽시스, 브리더즈, 소닉 유스 등이 모여 있는데, 이들의 중심에 자리한 너바나를 발견할 수 있다.

(좌) 라몬즈 주변의 행성들, (우) 태양계 끝자락에서 빛나는 너바나 2021. © dorothy

태양계 전체를 크게 선회하며 자신만의 궤도를 그리고 있는 전설의 기타리스트 지미 핸드릭스는, 록의 클래식을 구축한 레드 제플린, 크림, 야드버즈의 궤도를 가로지르며 불타오르는 혜성으로 그려졌다.

지미 핸드릭스 혜성과 레드 제플린 행성, 2021. © Dorothy

Wearedorothy.com

© designflux2.0.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3-30 | 무가치한 화폐의 비극적 풍경 

저 악명 높은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짐바브웨 달러는 화폐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다시피 했습니다. 그러한 와중에 종이가 사치 수입품으로 분류되어 막대한 관세가 부과되면서, 언론사들은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2009년 <짐바브웨 신문>의 ‘감사 벽보’ 광고는 돈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종이로서의 효용만 남은 짐바브웨 달러의 현실을 정확히 겨냥한, 씁쓸한 캠페인이었습니다. 

2010-03-17 |〈가디언〉, 서비스 디자인 증보판 발행

2010년 3월 15일, 영국의 유력 일간지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을 주제로 증보판을 내놓았습니다. 제품 중심의 산업에서 소위 지식 산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이 부상했고, 〈가디언〉의 이 기획은 기존 유형의 것에 적용해 왔던 굿 디자인 논의를 왜 또 어떻게 무형의 것에 적용할 것인지를 다루었습니다. 

2007-08-17 | 미켈 모라의 ‘평평한 미래’

RCA에서 디자인 인터랙션을 공부하던 미켈 모라는 석사 학위 프로젝트로 ‘평평한 미래’를 생각했습니다. 종이라는 아주 오래된 사물에 미래를 입혔다고 해야 할까요? 디스플레이, 배터리 스피커와 같은 요소들을 종이 위에 프린트하여 종이를 기술의 평면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렇게 그의 미래에서 종이는 사라질 유물이 아니라 강화된 기술적 사물이 되었죠.

자동차 없는 베를린 법안 제안

자동차 없는 베를린은 어떤 모습일까? 독일 시민단체 ‘베를린 아우토프라이’(Volksentscheid Berlin Autofrei)는 2020년부터 자동차 없는 안전한 도시 만들기 운동을...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