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배관의 변신, 독일 노르드 스트림 3

노르드 스트림 3의 외관 이미지, 2022. © Opposite Office

독일 건축 스튜디오 오포지트 오피스(Opposite Office)가 설계한 ‘노르드 스트림 3(Nord Stream 3)’가 공개되었다. ‘노르드 스트림 3’는 러시아와 독일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천연가스 배관인 ‘노르드 스트림 1’을 재구축하여, 세계 시민들의 새로운 만남과 교류의 장으로 탈바꿈한다.

발트해 아래에 위치한 천연가스 배관, ‘노르드 스트림 1’은 2011년부터 러시아의 천연가스를 독일로 수송해왔다. 이후 2018년부터는 10억 달러 규모의 ‘노르드 스트림 2’의 설치가 새로 착수되어 2021년 9월에 완공되었고, 이후 승인 절차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로, 지난 2월 독일 정부는 사업 승인 절차를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오포지트 오피스는 노르드 스트림을 쇄신하기 위해 디자인 콘셉트 설계를 의뢰받았다. 독일의 루브민(Lubmin)에 있는 천연 가스 적재장의 용도를 변경하여, 토론, 외국어 교육 기관, 작업 공간 갤러리, 문화적 교류 장소를 만들고 국제적 상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의사장을 세운다. 또한 ‘노르드 스트림 3’의 건축 자재로는 바다에 묻혀 있던 가스 배관을 채굴하여 사용한다.

‘노르드 스트림 3’ 설계 중에는 길이 1,153m의 파이프를 절단하여 194개의 캡슐 호텔로 개조하는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총 194개의 침대가 놓여 있는 이 캡슐 호텔은 전 세계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레지던시로, 무작위 추첨을 통해 당첨된 이용자는 한 달 동안 이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곳은 모든 계층, 문화, 종교, 국가, 각기 다른 문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상호의 교류를 통해 편견의 벽을 허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르드 스트림 3의 내부 이미지, 2022. © Opposite Office
노르드 스트림 3의 외관 측면 이미지, 2022. © Opposite Office

이렇게  ‘노르드 스트림 3’의 궁극적인 목표는 세계 시민 공동체들 사이에 상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기후, 사회, 보건, 경제 정책 문제를 다루는 토론을 통해 참가자들은 아이디어를 모으고, 가치를 위해 행동하고, 동등한 협상을 통해 새로운 영향, 영감, 자극을 각국에 전달하고자 한다.

이 프로젝트의 주체는, 시민 사회의 변혁이 국제적, 다문화적 교류, 네트워킹, 협업 과정을 통해 아래에서부터 이루어진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노르드 스트림 3’에서는 UN의 고위 관계자, 국가 원수들의 모임 대신, 일반 시민들의 총회가 열린다.

노르드 스트림 3의 단면도, 2022. © Opposite Office

oppositeoffice.com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4-07 | 아이와 함께 가는 카페

어린이를 환영하지 않는다고, 그것이 이곳의 방침이라고 말하는 장소들이 있습니다. 어린이가 출입해서는 안될 장소는 물론 있고 또 있어야 하겠지만, 그곳이 식당이고 카페라면 그래도 괜찮을지요. 곳곳에 노키즈존이 자연스레 자리한 지금, 2010년의 ‘베이비 카페’ 소식을 되돌아봅니다. 물론 어린이와 보호자를 정확히 겨냥한 가게라는 점에서, 어린이도 환영한다는 예스키즈존과는 결이 다른, 그러니까 그냥 키즈존 개념에 가까운 카페입니다. 그리고 넨도는 이러한 기조를 아주 큰 것과 아주 작은 것으로 공간 디자인에 구현했지요.

2007-02-22 | 벨크로의 힘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2009-10-21 |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

지난 한 해 네덜란드에서 출간된 책들 가운데 빼어난 북 디자인의 사례들을 선정하여 한자리에 모읍니다. 네덜란드 우수디자인도서재단과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이 주최하는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입니다. 2009년에는 어떤 디자이너의 어떤 책들이 선정되었을까요. 참고로 네덜란드 북 디자인하면 떠오르는 그 이름도 역시 있습니다. 

2011-10-27 | 파워 오브 메이킹

2010년 YBCA의 ‘테크노크래프트’도 여기 2011년 V&A의 ‘파워 오브 메이킹’도 모두 ‘만들기’를 화두로 삼은 전시였습니다. 대량생산사회의 도래로 미술공예운동이 일어났고, 모두가 소비자인 시대에 DIY 문화가 등장했듯, 만들기는 만들 이유가 없어진 사회에서 거꾸로 의미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대 다시 한 번 만들기가 부상했지요. 기술과 결합된 만들기의 양상이 특히 두드러졌던 이 시기, 전시 ‘파워 오브 메이킹’도 오래된 만들기와 새로운 만들기를 고루 조명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