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배관의 변신, 독일 노르드 스트림 3

노르드 스트림 3의 외관 이미지, 2022. © Opposite Office

독일 건축 스튜디오 오포지트 오피스(Opposite Office)가 설계한 ‘노르드 스트림 3(Nord Stream 3)’가 공개되었다. ‘노르드 스트림 3’는 러시아와 독일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천연가스 배관인 ‘노르드 스트림 1’을 재구축하여, 세계 시민들의 새로운 만남과 교류의 장으로 탈바꿈한다.

발트해 아래에 위치한 천연가스 배관, ‘노르드 스트림 1’은 2011년부터 러시아의 천연가스를 독일로 수송해왔다. 이후 2018년부터는 10억 달러 규모의 ‘노르드 스트림 2’의 설치가 새로 착수되어 2021년 9월에 완공되었고, 이후 승인 절차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로, 지난 2월 독일 정부는 사업 승인 절차를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오포지트 오피스는 노르드 스트림을 쇄신하기 위해 디자인 콘셉트 설계를 의뢰받았다. 독일의 루브민(Lubmin)에 있는 천연 가스 적재장의 용도를 변경하여, 토론, 외국어 교육 기관, 작업 공간 갤러리, 문화적 교류 장소를 만들고 국제적 상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의사장을 세운다. 또한 ‘노르드 스트림 3’의 건축 자재로는 바다에 묻혀 있던 가스 배관을 채굴하여 사용한다.

‘노르드 스트림 3’ 설계 중에는 길이 1,153m의 파이프를 절단하여 194개의 캡슐 호텔로 개조하는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총 194개의 침대가 놓여 있는 이 캡슐 호텔은 전 세계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레지던시로, 무작위 추첨을 통해 당첨된 이용자는 한 달 동안 이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곳은 모든 계층, 문화, 종교, 국가, 각기 다른 문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상호의 교류를 통해 편견의 벽을 허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르드 스트림 3의 내부 이미지, 2022. © Opposite Office
노르드 스트림 3의 외관 측면 이미지, 2022. © Opposite Office

이렇게  ‘노르드 스트림 3’의 궁극적인 목표는 세계 시민 공동체들 사이에 상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기후, 사회, 보건, 경제 정책 문제를 다루는 토론을 통해 참가자들은 아이디어를 모으고, 가치를 위해 행동하고, 동등한 협상을 통해 새로운 영향, 영감, 자극을 각국에 전달하고자 한다.

이 프로젝트의 주체는, 시민 사회의 변혁이 국제적, 다문화적 교류, 네트워킹, 협업 과정을 통해 아래에서부터 이루어진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노르드 스트림 3’에서는 UN의 고위 관계자, 국가 원수들의 모임 대신, 일반 시민들의 총회가 열린다.

노르드 스트림 3의 단면도, 2022. © Opposite Office

oppositeoffice.com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7-27 |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V&A의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가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972년 시작된 이래, 영국의 주요 일러스트레이션 공모전으로 자리잡은 행사입니다. 처음에는 도서만을 대상으로 했던 공모전 시상 부문은 현재 북 커버, 북 일러스트레이션, 저널리즘 일러스트레이션 세 가지로 확대되었고, 학생 부문도 별도로 시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V&A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2011년도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08-07-21 | 드로흐 ‘기후’ 공모전 수상작

드로흐가 주최했던 ‘기후’ 공모전의 수상작은 여러 모로 영리합니다. 1937년 첫선을 보인 알바르 알토의 그 꽃병과 그 디자인에 영감을 준 핀란드의 호수들. 얀 츠트브르트니크는 여기에서 출발하여, 핀란드에 실재하는 알토라는 이름의 호수가 1937년부터 2007년까지 거친 형태의 변화를 꽃병 디자인으로 형상화했습니다. 1937년의 모습이 꽃병의 외곽선을, 메말라 줄어든 2007년의 모습이 내곽선을 이루도록요. 그래서 이름도 ‘드로흐 알토’입니다. 마르다라는 뜻의 드로흐와 꽃병이자 호수인 알토로 기후 변화라는 주제를 담아냈지요.

2007-03-22 | 〈포브스〉 선정 산업디자인계 ‘취향생산자’ 10인

“〈포브스〉지 선정”이라는 표현이 이번에는 정말입니다. 2007년 〈포브스〉는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취향을 만들어내 선도하는 사람들 10인의 명단을 선정했는데요. 신진이라 할 만한 인물들과 이미 거물이라 할 인물들이 고루 섞인, 15년 전의 명단을 다시 만나봅니다. 

2009-08-10 | 어둠 속 빛나는 아이디어

브루케타 & 지니치는 1995년 설립된 크로아티아의 디자인 회사로, 브랜딩, 광고 등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주력으로 활동해왔습니다. 디자인플럭스에서는 이들의 연차 보고서 작업을 두 번 소개했는데요. 하나는 오븐에 구워야 내용이 나타나는 식품 회사의 보고서였고, 두 번째는 여기 어둠 속 빛을 발하는 야광 보고서입니다. 참고로 브루케타 지니치는 2017년 국제적인 광고대행사 그레이 산하에 들어갔고, 2020년 그레이가 디지털 마케팅 회사 AQKA와 합병하면서, 이제 AKGQ 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