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묘한 감각이 좋다: ASMR의 세계’

© design museum / Photo : Ed Reeve

영국 런던 디자인뮤지엄(Design museum)에서 2022년 10월 16일까지 ‘묘한 감각이 좋다: ASMR의 세계(WEIRD SENSATION FEELS GOOD: The World of ASMR)’ 전시를 진행 중이다. 스웨덴 국립건축디자인센터 ‘아크데스(ArkDes)’와 디자인박물관이 함께 제시하는 이번 전시는 아크데스 소속의 제임스 테일러 포스터(James Taylor Foster)가 큐레이팅을 담당했다.

전시 ‘묘한 감각이 좋다: ASMR의 세계’는 전 세계의 수백 만 명이 경험하는 문화인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를 다루고 있다. ASMR은 시각, 청각, 촉각의 자극에 반응하는 즐거움, 평온과 같은 신체적 감각을 의미한다. ASMR은 인터넷, 스마트폰 및 소셜미디어의 급격한 발전과 그 맥락을 함께하여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초연결 세상 속, 사람들의 고통과 불안을 완화시키고, 휴식을 제공하는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전시는 신체적 감각을 끌어내는 감각들과 관련된 작품들을 스크린 너머 현실의 공간에 구현하고, 관람객들이 직접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물리적 경험을 제공한다.

© design museum / Photo : Ed Reeve
© design museum / Photo : Ed Reeve

음향적으로 조율된 환경 속에서 관람객들은 새로운 혹은 이미 존재하는 도구와 재료를 사용하여 ASMR의 세계를 탐색하고 이해할 수 있다. 구불구불한 형태로 이어진 쿠션 작품 위에 누워 ASMR을 감상하거나, 직접 마이크를 닦고 천가방을 찌그러뜨리며 으스러지는 효과음을 만들어보는 등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작품들을 체험해 볼 수 있다.

큐레이터 테일러 포스터는 “디자인 용어의 의미, 디자인 박물관에 존재할 수 있는 것, 디자인 서적에 포함될 수 있는 영역을 넓힐 필요가 있다”고 전시 의의를 설명한다. 또한, “ASMR의 세계를 깊이 들여다보면 많은 디자인 분야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의 감성적 긴장을 완화하는 작업을 포함하여 그 자체로 디자인 운동이 될 것”이라 예측한다.

© design museum / Photo : Ed Reeve

전시에는 3Dio Sound, BBC Radio 4, 안드레아스 바너슈테트(Andreas Wannerstedt), 오스카 페터슨(Oscar Pettersson)를 포함한 3D 모션 아티스트와 다수의 ASMR아티스트들이 참여하였다.

designmuseum.org

arkdes.se

© designflux.co.kr

홍정아

오늘의 디자인이 어제의 디자인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한 디자인의 가치는 무엇일까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디자인은 가까워지려 할수록 더욱 많은 질문들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에 오늘도 디자인 역사, 전시 디자인에 관한 흥미와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나름의 답을 찾아가고자 두리번거리는 중입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21 | 벌들이여 다시 한 번

2007년 4월 30일 뉴스의 주인공, 토마시 가브즈딜 리베르티니가 다시 한 번 오랜 파트너와 손을 잡았습니다. 4만 마리의 벌들과요.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그는 앞서보다 정교한 조각상을 선보였는데요. 벌들이 분주히 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과정을 전시 현장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관람객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리베르티니와 벌의 인연은 올해에도 이어져, 지금 2021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에서 ‘벌집 건축’이 전시 중입니다.

2007-07-13 | 콘스탄틴 그리치치+플라스틱 신소재

새로운 소재가 출발점이 된 의자. ‘미토’는 바스프가 개발한 새로운 공업용 플라스틱 신소재로 태어난 첫 번째 제품입니다. 바스프는 신소재 울트라 시리즈를 개발하며, 4인의 디자이너를 초빙해 워크숍을 열어 소재들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했는데요. 그 중 한 사람이었던 콘스탄틴 그리치치와 함께 사출성형에 특히 적합한 ‘울트라듀어® 하이 스피드’의 제품화를 시험합니다. 여기에 이탈리아의 가구 회사 플란크가 합류하며, 그렇게 모노블록 의자 ‘미토’가 탄생하였습니다.

2008-10-08 | 스트리트 아트 x 사진

“JR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큰 미술관이 있습니다. 사진 콜라주 기법 덕분에, 작품을 무료로 온 세상의 벽에 전시하여, 평소에 박물관에 가지 않는 사람들의 관심을 이끕니다.” 물론 그 세상의 벽 중에는 실제의 갤러리, 뮤지엄들도 포함되지요. 여기 2008년 테이트 모던의 벽이 그러했고, 바로 얼마 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천장과 바닥이 그랬던 것처럼요. 

2007-06-15 | ‘세컨드 사이클’, 70년 전의 가구를 되살리다

70년 전 태어나 오랜 시간 동안 곳곳에서 제 역할을 해온 가구들이 다시 생산자의 품으로 돌아와 ‘두 번째 주기’를 기다립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7년 아르텍과 톰 딕슨이 전개한 ‘세컨드 사이클’입니다. 아르텍은 1935년 이후 150만 개 넘게 판매된 알바 알토의 ‘스툴 60’을 비롯해 그가 디자인한 가구들을 학교, 공장, 조선소, 플리마켓 등지에서 찾아내, 다시 ‘신제품’으로서 선보였습니다. 의자가 주를 이루었던 처음과 달리 현재는 비단 아르텍의 가구만이 아닌 유무명의 디자인 소품, 조명, 그림까지, 더 많은 오래된 물건들이 ‘세컨드 사이클’에 합류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