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 건축가 네트워크, 폴란드에 우크라이나 난민 쉘터 설치

‘페이퍼 파티션 시스템(Paper Partition System)’ © ‘자원봉사 건축가 네트워크(Voluntary Architects’ Network)’

‘자원봉사 건축가 네트워크(Voluntary Architects’ Network)'(이하 ‘VAN’)가 우크라이나 난민을 위한 긴급 대피소를 우크라이나와 인접국인 폴란드에 설치했다. VAN은 일본 건축가 시게루 반이 이끄는 비영리 단체로, 튜브형 판지와 패브릭 커튼만으로 간단한 설치가 가능한 ‘페이퍼 파티션 시스템(Paper Partition System)’을 개발했다. 대피소는 이 지역 내 두 곳에 설치되기로 결정되었는데, 이 곳에서는 자연재해의 희생자나 집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있는 노숙자를 위한 공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위한 임시 부스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지역 헤움(Chelm)의 슈퍼마켓에 설치된 페이퍼 파티션 시스템 유닛 © VAN

대피소를 설치하기에 앞서 자원봉사 팀은 폴란드에 위치한 브로츠와프 공과대학교(Wroclaw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페이퍼 파티션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구조를 조립한 뒤, 한 유닛의 크기를 가로 2.3미터 세로 2m로 조정했다. 지난 3월 11일, 우크라이나의 국경 인근 지역 헤움(Chelm)에 위치한 전 슈퍼마켓 자리에 319개의 판지를 사용하여 대피소를 세웠으며, 브로츠와프 공과대학 학생들은 이 설치 작업을 도왔다.

브로츠와프 중앙역에 설치된 페이퍼 파티션 시스템 © VAN /Photo: Maciej Bujko

3월 12일에는, 건축가 아가타 야시오렉(Agata Jasiolek)의 주도로 60세트의 파티션이 브로츠와프 중앙역에 설치되었다.

우크라이나 난민 지원 프로젝트는 VAN과 시게루 반 그리고 브로츠와프 대학 소속 건축가 휴버트 트램머(Hubert Trammer), 저지 라트카(Jerzy Latka)의 공동 기획으로 실현되었다. VAN에서는 앞으로도 폴란드의 임시 난민 시설에 페이퍼 파티션 시스템을 계속 제공할 것이라 밝혔다.

페이퍼 파티션 시스템 구조 세부 © VAN / Photo: Jerzy Latka

shigerubanarchitects.com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2-16 |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

복잡다단한 정보를 어떻게 표준화된 시각 언어로 전달할 것인가. 아이소타입이 탄생한 배경입니다. 아이소타입하면 오토 노이라트를 떠올리게 되지만, 그와 함께 이 시각 언어를 디자인한 사람이 바로 게르트 아른츠입니다. 세계를 보다 쉽게 이해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것은 그의 정치적 신념과도 부합하는 작업이었죠. 2011년 출간된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아이소타입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와 작업 세계를 다룹니다.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2009-05-25 | 디자인과 예술 사이

“디자인은 목적이 있는 표현이고, 만일 충분히 좋은 디자인이기만 하다면 훗날 예술이라 판정될 수도 있다.” 20세기의 거장 찰스 임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리고 21세기 하이메 아욘은 이렇게 이야기하죠. “더 이상 제품디자인과 예술 사이에 명확한 경계란 없다.” 디자인과 예술 사이를 유영하는 정체불명의 오브제들. 이를 조명하는 전시 ‘U.F.O. : 예술과 디자인의 흐릿한 경계’가 2009년 NRW-포럼 뒤셀도르프에서 열렸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