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오브젝트: UV

존 호건, ‘자외선’. 2021. Photo © Daniel Villarreal

모두가 자외선(UV)을 차단하려고 노력하는 이때, 샌프란시스코의 유리 공예가 존 호건은 오히려 자외선을 작품으로 끌어왔다.

지난 6월 존 호건은 ‘빛’을 탐구하여 유리 조각의 형태로 나타낸 새 작품 시리즈 ‘자외선(Ultraviolet)’을 샌프란시스코 더 퓨처 퍼펙트(The Future Perfect)에서 공개했다. 그는 전통 유리 공예 기법에 동시대의 관점을 접목하는 작업을 이어 나가고 있는데, 최근에는 ‘특수 변색 유리’를 사용한 추상적인 유리 조각과 조명 디자인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존 호건은, 눈에 보이는 빛에서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방사성 빛에 이르는 다양한 빛의 색과 모양을 탐구하여,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유리 오브젝트를 선보였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함으로써 빛으로 형태를 바꾸려고 한다”고 작품 의도를 설명하며, 자외선에 담긴 다양한 색의 스펙트럼은 빛이 인간에게 유해한 것이면서, 동시에 삶에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존 호건, ‘자외선’. 2021. Photo © Daniel Villarreal

thefutureperfect.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23 | 레고를 든 건축가들

〈아이콘〉 매거진 098호는 ‘장난감’ 특집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획이 진행되었습니다. 편집부는 런던의 유명 건축사무소 여러 곳에 ‘레고 아키텍처’ 세트를 안겨, 그것으로 새로운 건축 모형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1년 오늘의 소식에서 확인해보시죠.

2011-04-11 | 죽기 전에 하고 싶은 것

조만간 사라질 운명의 빈 건물에 커다란 칠판이 설치되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는 동네 주민들의 희망과 소원이 적혔죠. ‘죽기 전에’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통해 캔디 창은 죽음을 앞둔 시한부 건물에 죽기 전에 이루고픈 바람을 모아냈습니다. 

보이지 않는 방패

영국의 스타트업 ‘인비저블 쉴드(Invisibility Shield Co.)’가 SF 혹은 판타지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일본 전통 가구로 재현한 장난감 피아노

야마하 디자인 연구소(Yamaha Design Laboratory)가 치바 대학교(Chiba University) 디자인학과와 함께 일본 가구 스타일의 ‘스미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