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마스크 코트

마스크로 만든 소파 ‘카우치-19(Couch-19)’로 주목받았던 이탈리아 디자이너 토비아 잠보티(Tobia Zambotti)가 이번에는 일회용 마스크에 의한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재차 강조하고자 ‘코트-19(Coat-19)’을 발표하였다. 코트-19는 길거리에서 모은 마스크를 반투명한 천에 끼워 넣어 만든 일종의 방한복이다.

토비아 잠보티, ‘코트-19’, 2021. ⓒ Tobia Zambotti

아이슬란드에서는 2021년 8월에 4차 유행이 발생하면서, 실내에서도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된 마스크는 대부분 적절한 방식으로 폐기되지 않아, ‘해파리보다 많은 마스크(more mask than jellyfish)’[1] 라는 비유가 생길 정도로 일회용 마스크는 육지를 넘어 바다까지 위협하고 있다. 게다가 아이슬란드는 바람이 매우 강한 지역이어서, 공공 공간에 나뒹구는 마스크로 인한 오염도가 타 지역에 비해 더 높다. 토이바 잠보트는 바로 이 문제에 주목하여 아이슬란드의 수도 레이캬비크의 거리에 떠도는 파란색 마스크 1500장을 모아 오존 가스로 소독하고 코트-19의 충전재로 사용하였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일회용 마스크는 폴리프로필렌이라는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이것은 값싼 다운 재킷에 충전재로 사용되는 소재인 폴리필(Poly-fill)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외형만 다를 뿐 같은 기능을 하는 동일한 소재인 것이다.

토비아 잠보티의 코트-19는 10월 16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는 더치디자인위크(Dutch Design Week)의 온리 굿 뉴스(Only Good News) 전시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토비아 잠보티, ‘코트-19’ 속 마스크, 2021. ⓒ Tobia Zambotti
토비아 잠보티, ‘코트-19’ 세부, 2021. ⓒ Tobia Zambotti

[1] 가디언지의 아시파 카삼(Ashifa Kassam)의 기사 제목


tobiazambotti.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눈으로 볼 수 없는 룸메이트

게임 개발자 니콜 히(Nicole He)와 애니메이션 감독 에란 힐렐리(Eran Hilleli)가 집 안의 전자기기들이 상호작용하는...

2011-07-01 | 숲을 만들다

EU는 2011년을 ‘숲의 해’로 선포했습니다. ‘메이크 어 포레스트’는 숲의 해를 맞아 기획된 프로젝트로, 세계 곳곳의 도시에서 만들어진 ‘인공’의 나무로 숲을 이루려 했습니다. 그렇게 암스테르담에서 자그레브, 샌프란시스코에서 서울까지, 총 35개 기관이 힘을 모아 ‘메이크 어 포레스트’에 참여했고, 그 결과는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09-05-27 | ‘214’ 의자 150 주년 

나무를 구부리는 곡목 기법으로 태어난 최초의 대량생산 의자. 미하엘 토네트가 만들어낸 ‘214’입니다. 19세기에 태어난 이 의자는 20세기를 지나 21세기까지 여전히 사랑받는 고전 중의 고전이 되었죠. 2009년은 ‘214’가 탄생 150주년을 맞은 해였습니다. 이를 기념해 토네트는 다리에 매듭을 더한 ‘214k’도 선보였지요.

2006-08-17 | 마이클 그레이브스, 의료기기 디자인 계획 밝혀

"어떤 제품의 사용과정이 ‘악전고투’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멤피스 그룹의 일원이자 또 알레시의 주전자로도 친숙한 건축가 겸 제품 디자이너 마이클 그레이브스가 2006년 의료기기를 디자인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그의 계획은 2009년 의료 기술 회사인 스트라이커와의 협업으로 이어졌습니다. ‘병실용 가구’ 시리즈와 ‘프라임 TC’ 휠체어가 바로 그 결실이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