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케아 서핑 제품 컬렉션

맨몸 서핑에 사용하는 ‘코세베리아’ 핸드보드, 2022. © IKEA

가구 브랜드 이케아에서 세계 프로 서핑 연맹(World Surf League)과 협력하여 서핑 제품 컬렉션 ‘코세베리아(KÅSEBERGA)’를 출시한다. ‘우리가 서퍼의 생활을 닮을 수 있다면, 바다를 더 잘 보살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이번 컬렉션의 제품은 바다와 더불어 살아가는 이들을 돕기 위해 재생 가능한 혹은 재활용 소재로 제작된다.

서핑은 말 그대로 열린 바다 위에서 펼쳐지는 스포츠이다. 따라서 바다를 누비는 서퍼가 적극적으로 해양 환경 보호 운동에 참여하는 것은 극히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뜻밖의 조합으로 보일 수 있는 이케아와 서핑의 만남에 대해 “이케아는 집에서 더 나은 생활을 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지구와 바다는 서퍼들의 집이다”고 이케아의 크리에이티브 리더 제임스 푸처가 설명했다.

이케아에서는 ‘코세베리아’ 컬렉션을 위해 유명 서퍼 카시아 미도르, 롭 마차도를 중심으로 브라질, 일본, 스웨덴, 하와이에서 온 3,500명 이상의 서퍼들을 디자인 설계, 리서치, 프로토타입 테스트 등 제품 개발에 투입했다. 이 과정을 통해 가방, 모자, 비치 의자, 핸드보드 등의 서핑 제품부터 커피테이블, 포스터, 유리병 등의 인테리어 제품까지 25개의 아이템으로 컬렉션이 구성된다. 그 중 코세베리아 가방은 해양행 플라스틱(Ocean Bound Plastic, OBP)으로 만들어져, 해안가 쓰레기 처리에 기여한다.

‘코세베리아’ 제품은 서퍼 카시아 미도르의 말 – ‘큰 움직임, 낮은 영향(High vibes, low impact)’ – 처럼 사람들이 지속가능한 삶을 선택하도록 영감을 주는 것이 목표이다.

ikea.com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22 | 내셔널 디자인 어워즈 수상자

2010년도 쿠퍼휴잇 스미소니언 디자인 뮤지엄의 연례 시상식, ‘내셔널 디자인 어워즈’의 수상 결과를 되돌아봅니다. 총 10개 부문의 수상자 가운데, ‘평생공로상’과 ‘디자인 마인드’ 부문의 이름은 바로 6개월 전, 그러니까 2009년 12월에 날아든 〈I. D.〉매거진의 폐간 소식을 떠올리게 합니다. 더불어 작년 5월 10일 소개했던 뉴스의 주인공도 명단에서 찾아볼 수 있죠.

2007-11-29 | 당신의 기억보다 나은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의 ‘디자인 퍼포먼스’ 현장. 그곳에 디자이너 제이슨 밀러는 최면술사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지원자에게 최면을 걸고 인터뷰를 진행하여, 마음 속에 잠든 의미 있는 과거의 오브제를 찾아내, 새 디자인의 바탕으로 삼겠다는 것이었지요. 정말로 “더 나은” 결과물이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그의 퍼포먼스가 말 그대로 클라이언트의 “마음을 읽는” 디자인을 겨냥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V&A, 전시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V&A)에서 앨리스 기획전 ‘앨리스의 호기심(Alice: Curiouser and Curiouser, 2021. 5. 22....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