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분 매개자를 위한 알고리즘 정원: 수분(受粉) 패스메이커

‘수분 패스메이커’의 디지털 렌더링, 2021. © Alexandra Daisy Ginsberg

‘수분(受粉) 패스메이커(Pollinator Pathmaker)’는 꽃가루를 옮기는 벌, 나비 등의 수분 매개자(Pollinator)를 위해 인간이 식물을 심고 관리하는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알고리즘 정원 디자인을 통해 인간이 정원을 바라보는 태도와 행위자를 전환한다. 영국 콘월의 이던 프로젝트(Eden Project)의 의뢰를 받아 진행되었다.

예술가 알렉산드라 데이지 긴스버그(Alexandra Daisy Ginsberg)는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알고리즘에 사용될 450개의 디지털 식물 그림을 만들었다. ‘수분 패스메이커’의 사용자는 웹 페이지(pollinator.art)에서 이 디지털 식물들로 구성된 자신만의 3D 정원을 만들 수 있다. 알고리즘 도구를 활용하여 3D 환경 속에서 조경 계획을 세우거나, 수분 매개자처럼 정원 속을 들여다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식물과 더 가까워지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3D 정원은 공유, 저장, 재방문할 수 있다.

‘수분 패스메이커’의 사전 스케치, 2021. © Alexandra Daisy Ginsberg

벌, 꽃등에, 나비, 나방, 말벌, 딱정벌레 등의 수분 매개자는 많은 식물 종의 번식과 생태계에 필수적인 존재이다. 그러나 전 세계의 수분 매개자의 개체 수는 인간이 야기한 서식지 파괴, 살충제, 외래종, 기후 변화로 인해 크게 감소하고 있다. 수분 매개자 없이는 많은 식물이 번식과 씨앗을 만들 수 없고, 씨앗 없이는 결국 나무, 꽃, 작물이 사라지고 만다. 긴스버그는 식물 종의 번영과 생태계 보존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정원이 인간이 아니라 수분 매개자의 관점에서 디자인된다면 어떤 모습일까?

수분 매개자는 인간과 다른 방식으로, 또 계절마다 다른 방식으로 색을 보고, 먹이를 찾아다닌다. 이렇게 디자인된 정원은 인간을 위한 정원과는 상당히 다를 것이다.

‘수분 패스메이커’의 디지털 렌더링, 2021. © Alexandra Daisy Ginsberg

‘수분 패스메이커’는 인간이 만들어낸 생태계 파괴에 대한 대응이다. 예술을 통해 인간이 아닌 종을 위해 정원을 창조함으로써, 공감과 보살핌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daisyginberg.com

© designflux.ac.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22 | 벨크로의 힘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2011-01-19 |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

0년의 시간선 위에 각기 자리한 네 대의 탁상형 인쇄 기계를 지나 한 권의 책이 태어납니다. 왕립예술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아트 & 디자인을 전공한 자비에 앙탱이 졸업작품으로 선보인 ‘적기 혹은 생산의 소역사’입니다. 

2011-03-14 | 소재 탐구: 젤포

어떤 디자인은 소재에서 출발하기도 합니다. 프랑스의 젊은 디자이너 엘리제 가브리엘은 ‘포옹’이라는 이름의 컬렉션을 통해 ‘젤포’라는 이름의 신소재를 제품 디자인에 끌어 안습니다. “예측을 뛰어넘는 의외의 요소가 매력”이라는 이 낯선 소재가 테이블, 의자, 조명처럼 익숙한 사물에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2011년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2009-02-25 | 2009 브릿 인슈어런스 디자인 어워즈

런던 디자인뮤지엄이 주최하는 연례 디자인 시상식의 2009년도 수상 결과를 다시 만나봅니다. 건축, 패션, 가구, 그래픽, 인터랙티브, 제품, 운송 등 총 7개 부문에서 ‘올해의 디자인’이 선정되었는데요. 노르웨이 오슬로의 오페라 하우스에서 콜롬비아 메데인의 케이블카까지, 2008년의 디자인을 되돌아보는 기회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