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분 매개자를 위한 알고리즘 정원: 수분(受粉) 패스메이커

‘수분 패스메이커’의 디지털 렌더링, 2021. © Alexandra Daisy Ginsberg

‘수분(受粉) 패스메이커(Pollinator Pathmaker)’는 꽃가루를 옮기는 벌, 나비 등의 수분 매개자(Pollinator)를 위해 인간이 식물을 심고 관리하는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알고리즘 정원 디자인을 통해 인간이 정원을 바라보는 태도와 행위자를 전환한다. 영국 콘월의 이던 프로젝트(Eden Project)의 의뢰를 받아 진행되었다.

예술가 알렉산드라 데이지 긴스버그(Alexandra Daisy Ginsberg)는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알고리즘에 사용될 450개의 디지털 식물 그림을 만들었다. ‘수분 패스메이커’의 사용자는 웹 페이지(pollinator.art)에서 이 디지털 식물들로 구성된 자신만의 3D 정원을 만들 수 있다. 알고리즘 도구를 활용하여 3D 환경 속에서 조경 계획을 세우거나, 수분 매개자처럼 정원 속을 들여다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식물과 더 가까워지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3D 정원은 공유, 저장, 재방문할 수 있다.

‘수분 패스메이커’의 사전 스케치, 2021. © Alexandra Daisy Ginsberg

벌, 꽃등에, 나비, 나방, 말벌, 딱정벌레 등의 수분 매개자는 많은 식물 종의 번식과 생태계에 필수적인 존재이다. 그러나 전 세계의 수분 매개자의 개체 수는 인간이 야기한 서식지 파괴, 살충제, 외래종, 기후 변화로 인해 크게 감소하고 있다. 수분 매개자 없이는 많은 식물이 번식과 씨앗을 만들 수 없고, 씨앗 없이는 결국 나무, 꽃, 작물이 사라지고 만다. 긴스버그는 식물 종의 번영과 생태계 보존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정원이 인간이 아니라 수분 매개자의 관점에서 디자인된다면 어떤 모습일까?

수분 매개자는 인간과 다른 방식으로, 또 계절마다 다른 방식으로 색을 보고, 먹이를 찾아다닌다. 이렇게 디자인된 정원은 인간을 위한 정원과는 상당히 다를 것이다.

‘수분 패스메이커’의 디지털 렌더링, 2021. © Alexandra Daisy Ginsberg

‘수분 패스메이커’는 인간이 만들어낸 생태계 파괴에 대한 대응이다. 예술을 통해 인간이 아닌 종을 위해 정원을 창조함으로써, 공감과 보살핌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daisyginberg.com

© designflux.ac.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3-03 | 졸업작품, 소더비로 향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디자인이 주요한 소장품으로 부상한 가운데, 2010년에는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 학생들의 졸업작품이 유서 깊은 경매 회사로 향했습니다. ‘협업’의 개념으로 진행된 작품 판매 전시를 통해 최소한의 옷, 사우나 겸 옷장, 감각부하 탈출공간 등 2009년도 졸업작품들이 소더비 런던에서 전되었습니다.

2007-06-29 | 바젤 시민들, 신슈타트카지노에 반대표를 던지다

바젤시의 슈타트카지노는 이름은 카지노이지만 실제로는 콘서트홀입니다. 본래의 건물은 1824년에 지어졌지만, 현재의 건물은 다시 지어져 1939년에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을 새롭게 단장하기 위해 2003년 바젤시는 건축 설계안을 공모했고, 자하 하디드의 설계가 당선되었지요. 그의 설계는 마치 이 유서 깊은 문화 지구의 원 콘서트홀 위로 이질적인 매스가 착륙해 감싸 안은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였을까요. 2007년 바젤 지역 주민들은 이 ‘신슈타트카지노’ 사업에 반대표를 던졌고, 결국 사업은 무산되었습니다.(...)

2009-03-25 | 구글에서 보낸 3년

2006년 디자이너 더글러스 바우먼은 구글에 합류하며, 시각디자인리더로서 팀을 꾸리고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3년 뒤 구글을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면서 “엔지니어들의 회사에서 전통적인 디자이너가 부딪힌 한계”를 소회한 글을 남겼죠. 물론 그가 떠난 당시의 구글과 지금의 구글은 다른 모습일 테지만만, 여전히 디자이너 대 개발자, 디자이너 대 엔지니어 등 서로에 대한 몰이해의 일화가 심심치 않게 회자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몽블랑에 머물다 … 떠나간 젊은 산악인을 위한 비박 건축

2021년 12월 알프스 산맥의 최고봉인 몽블랑 루토르 빙하 위에 비박(bivouac, 등산 시 비상사태에 만드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