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의 1000그루 나무

2011년부터 헤더윅 스튜디오에서 진행하고 있는 ‘1000그루 나무(1000 Trees)’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가 완공되어 지난 12월 22일 대중에 공개되었다. 부동산 개발업체 티엔 안 차이나(Tian An China)의 의뢰로 지어진 ‘1000그루 나무’는 상하이 예술 단지 모간산루 50번지(M50)에서 20분 거리에 위치한 6헥타르(6만 제곱미터) 부지에 설계된 복합 개발 시설이다. 이 건물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구조는 나무 모양으로 형상화된 1,000개의 기둥이다. 그리고 각 기둥의 꼭대기에 나무를 심은 화분을 배치하여 프로젝트의 특징을 액면 그대로 보여준다. 이 건축물 내부에는 레스토랑, 박물관, 갤러리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하이의 역사적 산업단지 푸신(Fuxin) 밀가루 공장과 푸펑(Fufeng) 밀가루 공장을 보수하여 유지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2단계 공사는 2024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헤더윅 스튜디오, 1000그루 나무, 상하이, 2021. ⓒ heatherwick studio
헤더윅 스튜디오, 1000그루 나무, 상하이, 2021. ⓒ heatherwick studio
헤더윅 스튜디오, 1000그루 나무, 상하이, 2021. ⓒ heatherwick studio
헤더윅 스튜디오, 1000그루 나무, 상하이, 2021. ⓒ heatherwick studio

heatherwick.com
archdaily.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6-17 | 데니스 귀도네의 시계 디자인

디자이너 데니스 귀도네에게 시계는 그를 알린 중요한 아이템이었습니다. 2008년 소개된 ‘오라 우니카’는 시계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으로, 낙서처럼 보이는 불규칙한 선이 시침과 분침의 역할을 합니다. 하나로 연결된 선처럼 보이지만 사실 시와 분은 각기 다른 기판을 통해 움직이는데, 그것이 실현 가능한 메커니즘인가라는 의문도 있었지만, 공모전의 심사위원이었던 알레산드로 멘디니는 “정확성을 요구하는 시대에서 우연과 추정을 통해 드러나는 시간이라는 발상이 도발적”이라며 ‘오라 우니카’의 제품화를 기대하기도 했지요.

2006-11-22 | 탄소중립적 음반

‘탄소중립’이라는 말이 어느 때보다 자주 들려오는 요즘, 이 말을 2006년의 뉴스에서 다시 마주하는 기분이 씁쓸합니다. 옥스포드 사전이 선정했던 2006년 올해의 단어. 그러나 15년이 훌쩍 지난 지금, 탄소중립이라는 말에 시급함만 더해졌을 뿐입니다. 오늘의 옛 디자인플럭스 뉴스는 콜드플레이와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의 ‘탄소중립적 음반’ 소식입니다. 참고로 최근 콜드플레이는 3년만에 재개하는 월드투어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발표했지요.

2010-06-15 | 증강현실과 책이 만나면

보통의 책 위에 가상의 레이어가 하나 더해졌습니다. 카미유 셰레는 졸업작품 ‘산의 세계’에서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책 위에 움직이는 이미지의 세계를 덧입혔습니다. 이 가상의 층은 책 속의 이야기와도 또 책의 편집 디자인과도 절묘하게 공명하며 흥미로운 독서 경험을 만들어냈죠. 셰레의 이 작업은 디자인하위스의 ‘탤런트’ 전시에서 최우수 졸업작품으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2009-03-10 | ‘잃어버린 도시로부터’

반듯함과는 거리가 먼, 자가성장이 만들어낸 비정형의 파벨라 풍경을 가구에 옮겼습니다. 가구의 뼈대를 채운 것은 제각각 소재의 서랍과 상자들입니다. 2009년 당시 갓 학교를 졸업한 신진 디자이너였던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이제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입니다. 더불어 멕시코의 라탄 가구 브랜드인 발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도 맡고 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