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식 애플 뮤지엄 개관

2022년 5월 28일,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 비공식 애플 박물관이 개관한다. 옛 노블린 공장(Norblin Factory)를 개조하여 만든 이 박물관에는 총 350m² 면적에 컴퓨터, 전화기, 액세서리 등 애플과 관련된 사물 약 1,600점이 전시된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은 애플의 역사와 발전을 볼 수 있으며 전시품에는 1976년에 제작된 전자기기 외에도 애플의 독특한 컨텐츠와 포스터, 기념품 등, 애플의 역사와 발전상을 보여주는 다양한 오브제가 포함되어 있다. 박물관 측에서는 모든 정보와 제품을 한번에 전시하지 않고 나누어 선보임으로써 콘텐츠를 보다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을 취했다.

애플 박물관 로고 ⓒ apple muzeum
애플 박물관 전경 ⓒ apple muzeum

1976년 스티브 워즈니악이 만든 최초의 컴퓨터이자 애플의 첫 번째 제품인 ‘애플 1(Apple 1)’을 시작으로 1984년 등장한 최초의 맥 ‘매킨토시 128k(Macintosh 128k)’, 1997년에 20주년 기념으로 출시된 매킨토시, 스티브 잡스가 1997년 애플에 복귀해 처음 선보인 ‘아이맥 G3(iMac G3) 등이 전시된다.

Apple 1, 1976. ⓒ apple museum
Macintosh 128k, 1984. ⓒ apple museum
20-th Anniversary Macintosh, 1997. ⓒ apple museum
iMac G3, 1998. ⓒ apple muzeum

applemuzeumpolska.pl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4-01 | 포켓 캠코더 ‘SAL’

이전의 것들이 자신의 운명을 모른 채 새로운 것과 경합을 한다고 믿었던 시기. 온갖 휴대용 기기가 스마트폰이라는 하나의 기기에 흡수되기 이전의 이야기입니다. 클라스카 호텔의 디자이너로 널리 알려진 디자이너 슈와 테이의 포켓 캠코더 디자인 소식입니다.

디자인스토리 | 2009 | 타미네 자반바크트와의 대화

2009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초청으로 아르테니카(Artecnica)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타미네 자반바크트가 한국을 찾았다. 지난 9월 16일, 디자인플럭스는...

2010-03-08 | 잘라 붙이기

“아이디어들의 거대한 패치워크.”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키키 판 에이크가 2010년 선보인 ‘컷 & 페이스트’입니다. 각기 보면 평범한 물건이고 익숙한 소재들이지만, 그것들을 ‘잘라 붙이는’ 만들기의 과정을 거쳐 7개의 흥미로운 혼성의 사물이 탄생했습니다.

2011-03-04 | 부어 만들었습니다

콘크리트 액을 부어 탁자의 상판을 만든다면, 아마도 거푸집의 존재가 예상되겠지만, 스튜디오 글리테로의 ‘푸어드 바’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콘크리트 용액을 세 번에 걸쳐 층층이 부어 태어난 테이블의 상판은 그 모양도 질감도 자신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