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페이스북의 새 이름 메타, 대체어 챌린지

페이스북의 새 사명 ‘메타’의 로고, 2021. © Meta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1년 10월 28일, 페이스북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새 사명 ‘메타(Meta)’를 발표했다. ‘메타’는 메타버스를 일상으로 가져와 사람들을 연결하고, 커뮤니티를 찾아주며,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페이스북의 파격적인 이번 발표 직후, 디자인 이머전시(Design Emergency)에서는 인스타그램에 대체 용어 공모 챌린지를 시작했다. 

이 게시물에서 이들은 “디자인 이머전시 챌린지! 제발 테크권위자(tech-Gru) 마크 저커버그가 망쳐버린 ‘메타(meta-)’를 대체할 접두사와 ‘메타버스’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단어를 찾아주세요”라는 문구로 시작하여 날 선 비판을 이어갔다.

“‘메타’라는 접두사는 눈부신 미래를 함의하고 있었다.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며 유동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메타’는 많은 이가 탐험하고 직접 살아보고 싶어하는 또 다른 차원을 나타냈었다. 그러나 그 의미의 유효기간은 지난 10월 28일로 끝이 났다. 페이스북의 CEO가 기업의 리브랜딩을 위해 ‘메타’를 납치해서 난도질해버린 그 날까지 말이다.”

1992년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닐 스티븐슨은 지난 29일 트위터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남겼다. “상황이 점점 혼란스러워지는 것 같다. 페이스북이 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사실지만, 그 외에 나와는 전혀 무관한 일이다. 페이스북과 이 비즈니스에 관해 일절 대화를 나눈 바가 없다.” 이렇게 용어를 고안한 닐 스티븐슨마저도 페이스북의 행보에 당혹감을 표했다.

디자인 이머전시의 인스타그램에 업로드 된 밈, 2021. © design emergency

챌린지의 주최측에서는 우리의 존재 양태(state of being)는 저커버그가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사람들의 참여와 행동을 독려했다. “이에 대해 여러분들의 생각을 공유해주기 바란다. 적절한 대체어를 찾을 때까지 우리는 킹 밥(*영화 ‘미니언즈’에서 미니언 밥이 자신의 즉위식에서 외치는 대사 “King Bob!”)에 빙의해 ‘바나나버스’를 가주어로 제안한다”며 이 챌린지의 문을 열었다.

디자인 이머전시는 뉴욕근대미술관(MoMA)의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와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이 2020년에 코로나 19로 인해 부상하는 디자인의 역할과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이다. 매주 인스타그램 라이브 토크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게시글과 사람들의 댓글은 이곳에서 볼 수 있다.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21 | 머리카락으로 그린 일상

빅토리아 시대 기억을 위한 장신구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되살려, 일상의 사소한 순간들을 기념합니다. 그것도 머리카락으로요. 미국의 공예 작가 멜라니 빌렌커는 다갈색 머리카락 한올 한올로 조용하고 평범한 장면들을 기억할 만한 순간으로 바꿔냅니다. 

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2009-01-28 | 디자인 발견

“디자인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할 수 있나.” 런던 디자인 뮤지엄이 2009년 ‘디스커버 디자인’이라는 이름의 교육 프로그램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어떤 사물이 왜 그러한 모습이고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기능은 무엇이고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질문을 통해, 디자인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와줍니다.

2008-09-02 |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

데이비드 번. 토킹 헤즈를 이끌었던 바로 그 뮤지션이자 예술가이며 동시에 열렬한 자전거 애호가인 그가 2008년 자전거 보관대를 디자인했습니다. 뉴욕교통국이 진행하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그가 디자인한 보관대들이 뉴욕 곳곳에 설치되었는데요. “그저 미술 작품이 아니라 실용적인 자전거 보관대라는 사실을 알아볼 수 있게, 기존 보관대와 같은 두께, 같은 소재여야 한다는 점이 내게는 중요했다”는군요. 그렇게 탄생한 데이비드 번의 자전거 보관대는 11개월간 제자리를 지켰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