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재사용

이케아의 디자인 연구소인 스페이스 10(Space 10)과 델프트 공과대학교(TU Delft)가 물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물’은 모든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 조건이지만, 물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도시가 확대될수록 물을 공급하는 시설을 마련하고 유지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6명의 디자이너가 홍콩, 멕시코시티, 런던 세 도시를 임의로 설정하여 미래의 물 사용법을 제시한다.

안드레아 리 & 미셸 림, ‘메이드 위드 레인(Made with Rain)’, 홍콩, 2021. ⓒ Olivia Lifungula

홍콩 디자이너 안드레아 리(Andrea Li)와 미셸 림(Michelle Lim)은 빗물을 수집해 레몬차를 만드는 시스템(Made with Rain)을 고안했다. 이들은 리서치를 통해 홍콩 전체 물 사용의 46%가 산업, 특히 서비스 산업분야에 사용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결국 산업용수의 효율적인 사용법을 찾는다면,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먼저 홍콩은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산업용수를 빗물로 대체하는 방법을 고민했다. 그리고 평평한가게 지붕을 통해 빗물을 수집하는 시스템을 구상하고, 이를 홍콩의 상징적인 문화 중 하나인 레몬티의 생산-소비 부문과 결합시키는 방안을 고안했다.

켈시베어 & 이타마르 릴리엔탈, ‘에쿠아(Äkua)’, 멕시코시티, 2021. ⓒ Ariana Velazquez

멕시코시티의 디자이너 켈시 베어(Kelsey Bair)와 이타마르 릴리엔탈(Itamar Lilienthal)은 바이오소재를 활용한 물 정화 시스템 ‘에쿠아(Äkua)’를 제작했다. 잦은 홍수, 오염된 수돗물, 도시의 폐수가 계곡으로 그대로 흘러가는 등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는 멕시코시티에서는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다. 효과적인 물 여과 방법을 고심하던 중 이들은 멕시코시티 전역에서 발견되는 용암석 ‘테존틀’과 가시나무 선인장 ‘노팔’에서 해결안을 찾았다. 노팔은 물 여과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황산알루미늄보다 300배 이상의 효율성을 발휘하고, 테존틀은 스펀지처럼 병균을 광물 구조안에 가두기 때문에, 이를 통해 획기적으로 식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엘리사 브루나토 & 크리스토프 디크만, ‘파이프 해부도(Pipe Anatomy)’, 런던, 2021. ⓒ Olivia Lifungula

영국 디자이너 엘리사 브루나토(Elissa Brunato)와 크리스토프 디크만(Christoph Dichmann)은 새로운 파이프 형태를 제안한다. 이들은 이미 손상된 파이프로 인해, 공급되는 물 가운데 1/4이 중간 과정에서 누수된다는 사실, 매주 평균 1,300개의 파이프가 수리되고, 하루에 약 6억 리터의 식수가 손실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결과적으로, 파이프를 시간이 흐르면서 주변 환경에 반응하는 대상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에서 출발하여, 이에 적합한 소재의 사용을 제안했다.

스페이스 10은 도시가 안고 있는 물 문제의 복합성을 강조했다. 물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디자이너, 전문가, 시민간의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대화와 긴밀한 관계를 통한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에 방점을 둔다.

Space10.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2011-10-27 | 파워 오브 메이킹

2010년 YBCA의 ‘테크노크래프트’도 여기 2011년 V&A의 ‘파워 오브 메이킹’도 모두 ‘만들기’를 화두로 삼은 전시였습니다. 대량생산사회의 도래로 미술공예운동이 일어났고, 모두가 소비자인 시대에 DIY 문화가 등장했듯, 만들기는 만들 이유가 없어진 사회에서 거꾸로 의미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대 다시 한 번 만들기가 부상했지요. 기술과 결합된 만들기의 양상이 특히 두드러졌던 이 시기, 전시 ‘파워 오브 메이킹’도 오래된 만들기와 새로운 만들기를 고루 조명합니다.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재활용 플라스틱 벽돌 ‘바이블록’

“플라스틱은 무죄입니다. 문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제대로 처리할 계획이 없다는 점이죠.” 2017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문을 연 바이퓨전(ByFusion...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