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 건조실에서 선보인 전시

코로나19로 대부분의 대규모 오프라인 디자인 박람회들이 연기되거나 취소되었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는 여러 방식들이 모색되고 있다.

크로아티아의 가구 브랜드 프로스토리아(Prostoria)는 지난 6월 코로나 19 속에서 관객과 소통하기 위해 ‘리비지팅 팩토리(Revisiting Factory)’라는 제목의 오프라인 전시를 개최했다. 이 전시에서는 가구로 만들어지기 전까지 목재를 보관하는 장소인 프로스토리아의 목재 건조실을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여, 건조 중인 목재와 완성된 디자인 가구를 함께 선보였다. 많은 관람객이 모이는 박람회와 달리 야외 공간이나 관람객 간 충분히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프로스토리아의 대표 토미슬라프 크네조비치(Tomislav Knezovic)는 “지속가능성이 디자인프로세스의 일부”임을 보여주기 위해 목재 건조실을 전시공간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프로스토리아, 리비지팅 팩토리, 2021. © Prostoria

‘리비지팅 팩토리’는 2020년부터 시작된 ‘리비지팅 아날로그(Revisiting Analogue)’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기획된 전시이다. ‘리비지팅 아날로그’ 프로젝트는 지역의 건축 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진행된다. 지난 해 프로스토리아는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크로아티아 도심에서 벗어난 지역에 위치한 프로스토리아 공장 근처 숲 속에 ‘투명 벽’으로 된 컨셉 주택 형식으로 파빌리온을 만들어 선보였다.

2020년의 ‘리비지팅 아날로그’와 2021년의 ‘리비지팅 팩토리’는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 19로 인해 취소된 국제 가구 박람회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등장했다.

프로스토리아, 투명한 벽으로 만들어진 파빌리온(리비지팅 아날로그 프로젝트), 2020. © Prostoria

‘리비지팅 팩토리’ 프로젝트는 2021 독일 브랜드 어워드(German Branding Awards 2021)에서 3개 의 상을 받았다. 특히 국제시장을 활발하게 만드는데 기여한 브랜드에 수여하는 엑설런트 브랜드-인테리어 & 리빙(The Excellent Brands-Interior & Living) 부문을 수상했다.

‘리비지팅 팩토리’와 ‘리비지팅 아날로그’ 프로젝트는 모두 크로아티아-오스트리아계 디자인 그룹인 누먼/포유즈 스튜디오(Numen/ForUse studio)와 산업디자이너 사이먼 모라시 피페치치(Simon Morasi Pipercic)와의 공동작업으로 진행되었다.

prostoria.eu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난민 캠프: 거주지에 대한 또다른 상상

2011년 시리아 시민 전쟁 후부터 현재까지 자국을 떠나 세계 각지로 흩어진 난민은 현재 700만 명...

2011-10-24 | 아키진스

세계 각국의 건축 관련 잡지들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 ‘아키진스’의 오프라인 전시가 2011년 AA 건축학교에서 열렸습니다. 동명의 전시회 ‘아키진스’에서는 20여 개 국가에서 나온 건축 관련 잡지, 팬진, 저널 등 총 60여 종을 소개했습니다. 가내수공업 스타일의 무료 잡지에서 이름난 건축 전문지까지, 각각의 출판물과 이를 만드는 사람들의 인터뷰가 나란히 함께 하였죠.

2007-06-08 | 올리베티 프린터 컬렉션

지난 4월 11일은 아드리아노 올리베티의 탄생 120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창업자인 아버지 카밀로 올리베티의 뒤를 이어 우리가 아는 ‘그 올리베티’의 모습을 만든 인물입니다. 디자인 평론가 앨리스 로스손은 그가 “현대 디자인만이 아니라 복지 자본주의의 기업 모델을 확립했다”고 말합니다. 전후 이탈리아 산업 디자인을 대표하는 이름이었던 올리베티는 현재 사뭇 다른 모습으로 텔레콤 이탈리아의 산하에 있습니다. 오늘의 소식은 2007년 과거의 영화를 재현하려는 듯 쟁쟁한 디자이너들과 함께 선보였던 올리베티의 프린터들 이야기입니다. 심지어 재스퍼 모리슨의 프린터는 그 이름마저 ‘리네아(Linea)’였지요.

2008-09-30 | 시카고 국제 포스터 비엔날레 공모전 수상작

“포스터는 어디에서나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사랑을 받아왔지만, 포스터에 미국은 그리 마음 편한 곳이 아니었다. 툴루즈-로트렉에서 뮐러-브로크먼, 마티스, 트록슬러에 이르는 유럽의 포스터 전통은 그래픽 디자이너라는 직종을 정의하는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사해왔다. 반면 미국에서 포스터는 당당하게 혹은 도처에서 거리의 존재감을 누려본 적이 없다.”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