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릿속을 꺼내 보는 방법, MRI를 활용한 3D 프린팅 뇌

3D 프린팅 된 뇌 형상 © Elena Malott

뉴저지 맥네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엘레나 말롯이 MRI 스캔을 활용하여 뇌의 구조 전체를 3D 프린팅 해냈다. 브라운 대학교 여름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던 중, 말롯은 기말 과제로 뇌의 후두엽을 조사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X-레이와 MRI 스캔 같은 장치들이 어떤 방식으로 질병을 발견하는지 그 원리를 파악하게 되었다.

한편, 말롯은 3D 프린터 로봇 회사를 운영하는 아버지의 사무실에서 비서로도 일하고 있었다. 이렇게 뇌 연구와 함께 3D 프린터를 다루게 된 말롯은, 어느 날 회사에서 소프트웨어 문제로 출력에 오류가 생겨 프린터에서 바닥으로 흐르는 플라스틱을 보고 “꼭 뇌 같이 생겼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MRI와 3D 프린터가 만나는 순간을 포착한 것이다. 그리고 곧바로 뇌를 MRI로 스캔하여 3D 프린팅을 시행했다.

3D 프린터에서 출력되는 플라스틱과 엘레나 말롯 © Elena Malott

말롯은 MRI 스캔과 3D 프린팅이 교차하는 지점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슬라이싱’이라는 과정이다. 슬라이싱은 3D 프린터 구동을 위해 3D 개체의 단면을 층층이 레이어로 써는 과정을 일컫는다. 3D 프린터는 가상의 모델을 실제 물리적 개체로 만들기 위해 레이어를 쌓는 반면, MRI는 물리적 개체를 디지털 이미지로 분해한다.

뇌의 슬라이싱을 쌓고 있는 3D 프린터 © Elena Malott

3D로 프링팅을 하려면 바닥면이 평평해야 하는데, 뇌는 구 형태를 띠고 있어서, 말롯은 반으로 쪼개진 형태를 프린팅 했다. 몇 차례의 시행착오 끝에 최종적으로 가로 560mm, 세로 570mm, 높이370mm, 무게 75kg 규모의 완전한 뇌 형상을 출력했다.

이 실험은 3D 프린팅이 의료 교육 및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말롯은 뇌의 조직인 백색, 회색 물질과 유사한 전도성을 가진 재료를 가지고 3D 프린팅을 탐구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 3D 프린팅 된 뇌 형상은 박물관과 같은 공식 관련 기관에 기증할 계획이다.

3dprint.com

© designflux2.0.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05 |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MAXXI로 RIBA 스털링상 수상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가 설계한 로마의 국립21세기미술관(MAXXI)이 2010년 영국왕립건축가협가가 수여하는 스털링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스털링상은 RIBA 소속 회원이 설계했다면, 건축물의 소재 지역은 영국은 물론 유럽 연합까지 포괄하였는데요. 2015년부터는 정확히 영국 지역 내 건축물에 한정되었죠. 참고로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는 이듬해 런던의 에블린 그레이스 아카데미 설계로 2년 연속 스털링상 수상자 명단에 올랐습니다. 

2010-10-11 | 현수교의 원리를 의자에

허먼 밀러의 ‘세일’은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익숙한 제품이죠. 2010년 첫선을 보인 ‘세일’은 샌프란시스코의 랜드마크인 금문교에서 착안하여, 현수교의 구조를 의자에 옮긴 제품이었습니다. 2010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퓨즈프로젝트와 허먼 밀러가 2년 반의 준비 끝에 내놓은 ‘세일’의 디자인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2007-09-05 | 접이식 인테리어 오브제

스웨덴의 폼 어스 위드 러브가 2007년 접이식 인테리어 소품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플랫팩 디자인의 극한이라고 할까요. 접기 전에는 그저 얇은 철제 평판입니다. 접기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옷걸이, 쓰레기통, 시계 등의 소품이 됩니다. 폼 어스 위드 러브는 2007년 당시만 해도 설립 3년 차의 신진 스튜디오였지만, 2020년에는 〈패스트 컴퍼니〉가 선정한 최고의 혁신적 디자인 회사 명단에 올랐습니다.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