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릿속을 꺼내 보는 방법, MRI를 활용한 3D 프린팅 뇌

3D 프린팅 된 뇌 형상 © Elena Malott

뉴저지 맥네어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엘레나 말롯이 MRI 스캔을 활용하여 뇌의 구조 전체를 3D 프린팅 해냈다. 브라운 대학교 여름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던 중, 말롯은 기말 과제로 뇌의 후두엽을 조사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X-레이와 MRI 스캔 같은 장치들이 어떤 방식으로 질병을 발견하는지 그 원리를 파악하게 되었다.

한편, 말롯은 3D 프린터 로봇 회사를 운영하는 아버지의 사무실에서 비서로도 일하고 있었다. 이렇게 뇌 연구와 함께 3D 프린터를 다루게 된 말롯은, 어느 날 회사에서 소프트웨어 문제로 출력에 오류가 생겨 프린터에서 바닥으로 흐르는 플라스틱을 보고 “꼭 뇌 같이 생겼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MRI와 3D 프린터가 만나는 순간을 포착한 것이다. 그리고 곧바로 뇌를 MRI로 스캔하여 3D 프린팅을 시행했다.

3D 프린터에서 출력되는 플라스틱과 엘레나 말롯 © Elena Malott

말롯은 MRI 스캔과 3D 프린팅이 교차하는 지점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슬라이싱’이라는 과정이다. 슬라이싱은 3D 프린터 구동을 위해 3D 개체의 단면을 층층이 레이어로 써는 과정을 일컫는다. 3D 프린터는 가상의 모델을 실제 물리적 개체로 만들기 위해 레이어를 쌓는 반면, MRI는 물리적 개체를 디지털 이미지로 분해한다.

뇌의 슬라이싱을 쌓고 있는 3D 프린터 © Elena Malott

3D로 프링팅을 하려면 바닥면이 평평해야 하는데, 뇌는 구 형태를 띠고 있어서, 말롯은 반으로 쪼개진 형태를 프린팅 했다. 몇 차례의 시행착오 끝에 최종적으로 가로 560mm, 세로 570mm, 높이370mm, 무게 75kg 규모의 완전한 뇌 형상을 출력했다.

이 실험은 3D 프린팅이 의료 교육 및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말롯은 뇌의 조직인 백색, 회색 물질과 유사한 전도성을 가진 재료를 가지고 3D 프린팅을 탐구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번에 3D 프린팅 된 뇌 형상은 박물관과 같은 공식 관련 기관에 기증할 계획이다.

3dprint.com

© designflux2.0.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7-23 |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의 전제를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굿 디자인 이즈 굿 비즈니스”일 것입니다. IDEA 어워드와 병행하여 2003년부터 운영된 이 시상 행사는 제품 디자인이 거둔 사회경제적 성과나 기여의 실제 사례를 통해 ‘디자인 경영’의 영향력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오늘은 2007년도 카탈리스트 어워드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08-07-07 | 잔디 사진

헤더 애크로이드와 댄 하비는 자연을 매체로 삼은 작업으로 유명한 미술가 듀오입니다. 특히 잔디를 이용한 사진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청사진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잔디의 감광성을 이용해 잔디판 위에 사진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2008년 두 사람은 윔블던 테니스 챔피언십의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여 잔디 사진들을 선보였습니다. 잔디 코트의 윔블던과 잔디 사진의 애크로이드 & 하비. 잔디는 그야말로 절묘한 매개체였습니다.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2010-06-22 | 내셔널 디자인 어워즈 수상자

2010년도 쿠퍼휴잇 스미소니언 디자인 뮤지엄의 연례 시상식, ‘내셔널 디자인 어워즈’의 수상 결과를 되돌아봅니다. 총 10개 부문의 수상자 가운데, ‘평생공로상’과 ‘디자인 마인드’ 부문의 이름은 바로 6개월 전, 그러니까 2009년 12월에 날아든 〈I. D.〉매거진의 폐간 소식을 떠올리게 합니다. 더불어 작년 5월 10일 소개했던 뉴스의 주인공도 명단에서 찾아볼 수 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