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예술가ㆍ큐레이터 베니스 비엔날레 참가 취소

베니스 비엔날레 러시아관. © La Biennale di Venezia

다음 달에 오픈하는 제 59회 베니스 비엔날레(La Biennale di Venezia, 4월 23일–11월 27일)에서 러시아관은 비워지게 되었다. 지난 2월 28일, 이번 비엔날레 러시아관의 큐레이터와 예술가들이 사임하면서, 비엔날레 참가를 취소한다는 결정을 통보했다.

비엔날레 측은 이들의 용기 있는 고결한 행동에 강한 연대를 표명하고, 현재 우크라이나 국민들이 처한 상황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이 결정을 지지했다. 그리고 “베니스 비엔날레는 예술과 문화를 통한 만남의 장소로 남아 있으며, 폭력을 사용하여 대화와 평화를 방해하는 모든 이를 규탄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비엔날레에서는 러시아의 용납할 수 없는 군사적 침략에 대해 강한 비판과 함께, 우크라이나에 전폭적인 지지를 표했다. 자국의 비극 속에서도 작업을 완성해낸 작가와 전시팀들을 지지하기 위해, 비엔날레 측에서는 우크라이나와 모든 방법으로 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과거 베니스 비엔날레에 참여했던 러시아 초청 작가들 중 전쟁에 반대하는 이들에 대해서도 지지를 보냈다. 비엔날레에서는 표현의 자유를 옹호하고, 무방비 상태의 사람들을 공격하는 비열한 권력에 반대하는 이들에게 문을 열어 놓는다며, 예술, 건축, 영화, 음악에 이르기까지 모든 예술 분야에서 현 러시아 정권에 반대하는 이들을 위한 자리를 계속 마련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모스크바에서 전쟁 반대 시위 중 연행되는 시민, 2022. © AP / Photo: Denis Kaminev

현 상황이 지속되는 한, 베니스 비엔날레는 침략 행위에 수행, 지원, 가담한 자들 혹은 러시아 기관, 정부와 관련 있는 자들과는 어떠한 형태의 협업도 거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labiennale.org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0-19 | BCXSY의 못

디자인 듀오 BCXSY는 금속과 주조 기술을 활용한 전시에 참여하면서, 이를 못이라는 물건을 다시금 생각할 기회로 삼았습니다. 전시회 ‘자연 복제 #2’에서 그들은 조금 색다른 형태의 못을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탁상과 촛대를 완성했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못이니 만큼, 그 존재를 멋지게 드러냈죠.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 (It’s Our F***ing Backyard)’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테델릭 뮤지엄(Stedelijk Museum Amsterdam)에서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It’s Our F***ing Backyard)’이 2022년...

2009-12-03 | 어느 제지회사의 달력

어느덧 내년의 달력들이 찾아오는 때입니다. 시기에 걸맞게 2009년 오늘은 제지회사의 달력 소식을 전했습니다.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이탈리아의 제지회사 페드리고니의 영국 지사에서는 매년 협업을 통해 달력을 선보여왔는데요. 스튜디오 8이 디자인한 2010년도 달력은 글자를 접어 올려 세우는 형태의 일력이었습니다. 참고로 페드리고니의 달력 프로젝트는 2018년부터 ‘페드리고니 365’라는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010-04-13 | 엔초 마리 ‘자급자족 디자인’ 부활

작년 한 해 코로나19가 안긴 수많은 부고 가운데 안타깝게도 엔초 마리와 그의 부인 레아 베르지네의 타계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열린 회고전의 개막 직후의 일이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입니다. “디자인은 지식을 전할 때 오로지 디자인이다.”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은 완성품으로서의 가구가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가구를 전했습니다. 2010년 아르텍은 그 ‘자급자족 디자인’의 첫 번째 가구인 ‘의자 1’을 다시 소개하며 엔초 마리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짤막한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모습과 그가 믿는 디자인 이야기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