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과 치유: 감염병에 대응하는 창의적인 방법

디자인과 치유 전시 설치물 © Smithsonian institution / Photo: Matt Flynn

전시 ‘디자인과 치유: 감염병에 대응하는 창의적인 방법(Design And Healing: Creative Responses to Epidemics)’이 쿠퍼 휴잇 스미스소니언 디자인 박물관에서 2023년 2월 20일까지 개최된다. 이 전시는 비영리 건축 리서치 단체인 매스 디자인 그룹(MASS Design Group)과 쿠퍼 휴잇 스미스소니언 디자인 박물관에서 공동 기획한 것으로, 코로나19가 한창 확산되는 기간에 준비되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팬데믹을 통해 ‘호흡은 공간적’이라는, 자명하면서도 쉽게 잊어버리는 사실을 재발견한다. 이 호흡의 공간성은 신체, 건물, 도시, 지구, 즉 존재하는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이 팬데믹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불거진 주거, 일자리, 의료 서비스에 대한 불평등은 과거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사람들을 지역사회로부터 소외시켰다.

이 전시는 코로나19에 대한 건축 사례 연구와 함께 디자인의 창의적인 대응을 보여준다. 전시에 참여한 디자이너, 아티스트, 의사, 엔지니어, 지역사회 주민은 “어떻게 도와드릴까요?”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들은 의료 기기, 보호 장비, 인포그래픽, 정치 포스터, 건축물, 커뮤니티 서비스를 만들고 제공하기 위해 오픈 소스를 활용하고, 협업을 도모하며, 신속한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 등을 거쳐 사회 활동으로 연결시킨다. 이들의 공통된 염원은, 돌봄에 대한 권한을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접근 장벽을 없애는 것이다.

약물 과다 복용시 응급 처치할 수 있는 날록손 키트(Ventizolve Naloxone Kit), 2020. © ANTI (A New Type of Interface)
음압 산소 호흡기(Shaash Negative-Pressure Ventilator), 2021. © Karnaphuli Industries Limited
(좌) 광장에 설치된 스토디스탄테(StoDisTante), (우) 스토디스탄테 포스터, 2020. © Caret Studio
‘디자인과 치유’ 전시 풍경 © Smithsonian institution / Photo: Matt Flynn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전시품과 디자인에 관한 설명을 볼 수 있다.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7-29 | 산업디자인계 트렌드세터 10인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가 아직도 진행 중이던 2009년, <포브스>는 산업디자인계의 트렌드세터 10인의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경제위기가 불러온 소비의 변화에 가장 먼저 응답할 분야로서 산업디자인을 지목하고, 그 분야의 트렌드를 이끄는 인사들을 선정한 것인데요. 과연 어떤 이름들이 명단을 이루었을까요. 2009년 오늘의 뉴스에서 재확인해봅니다.

2007-05-10 | 달빛 감응 가로등

에너지 절약과 가로등이라는 주제의 공모전이라고 하면 이라면 예상 가능한 제안은 아마도 태양광 발전 가로등일 테죠. 하지만 여기 2007년 〈메트로폴리스〉지의 차세대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은 오히려 달빛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달빛에 감응해 가로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가로등. 에너지도 절약하면서 조명 공해에서도 한발 물러선 영리한 제안입니다.

2007-04-05 | IKEA의 주택 상품 ‘보클록(BoKlok)’

이케아도 무지도 집안에 둘 물건을 파는 데 머무르지 않고 집마저도 상품 목록에 더했습니다. 이케아가 건설회사 스칸스카와 함께 내놓은 '보클록(BoKlok)'은 ‘누구’에서 출발하는 집입니다. 이 집의 시작은 ‘아이 한 명을 키우는 한부모 여성’입니다. 평균 수준의 소득에 자동차는 없는 여성이요. 여기에서 조금 더 확대해 아이 한 명의 작은 가족, 이제 직장 생활을 시작해 첫 주택을 구입할 청년층, 작고 저렴하고 안전한 집을 원하는 노인 등이 보클록이 상정한 거주자의 모습이었습니다. 2019년에는 ‘실비아보’ 프로젝트를 통해 치매 환자를 위한 집을 선보이기도 했지요.

2011-10-18 | 새들에게 만찬을

새들을 위한 격식 있는 상차림. 디자이너 프레데릭 로이예의 ‘디시 오브 디자이어’는 본차이나와 레드시더우드 소재의 접시들이 층층이 매달린 새 모이통입니다. 몇 가지 ‘코스’의 차림인가, 즉 몇 개의 접시로 이뤄졌는가에 따라 모두 네 가지 종류로 구성되었죠. “깃털 달린 친구들”을 위한 멋진 소품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