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 3D 프린팅을 활용한 화성 탐사 시뮬레이션 건축

마스 듄 알파 3D 프린팅 제작 과정 ⓒ ICON

건축 관련 3D 프린팅 기술로 유명한 아이콘(ICON)사에서 2015년에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 ’마션(The Martian)’에서 영감을 받아 화성의 서식지 ‘마스 듄 알파’(mars dune alpha)를 제작했다. 마스 듄 알파는 화성 표면에 1년 동안 머물며 일련의 아날로그 임무를 수행하는 나사(NASA)의 프로젝트인 차페아‘(CHAPEA: Crew Health and Performance Exploration Analog)’의 승무원들이 지낼 거주지를 시뮬레이션 한 것으로, 구축물의 디자인은 세계적인 건축가/건축 회사인 비야케 잉겔스 그룹에서 맡았다. 마스 듄 알파의 총 규모는 1,700 제곱피트(약 158 제곱미터, 약 48평)이고, 특히 우주 탐사 정착지에 많은 양의 건축 자재를 여러 차례 운반하지 않기 위해 적층 건설 기술을 적용하여 3D 프린팅 했다.

마스 듄 알파를 3D 프린팅 하는 모습 ⓒ ICON

나사에서는, 2021년 8월 6일부터 9월 17일까지, 텍사스 존슨 우주 기지(Johnson Space Center)에 제작, 설치된 이 3D 프린팅 서식지에서 1년 동안 시뮬레이션 할 화성 탐사 참가자를 모집했다. 본격적인 시뮬레이션은 2022년 가을에 시작되는데, 첫 번째 아날로그 임무는 이곳에서 거주하면서 우주 식량 시스템(섭식, 소화 등)을 비롯하여 우주 임무 수행에 필요한 신체적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수행 활동 결과를 관찰하는 것이다.

마스 듄 알파 내부 도면 ⓒ ICON

Iconbuild.com
nasa.gov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12-16 | ‘찌지직! 종이 패션’ 전시회

의복의 소재로 삼기에는 연약해 보이는 종이에 도전한 패션을 조명합니다. 2008년 룩셈부르크 현대미술관에서 ‘찌지직! 종이 패션’이라는 이름의 전시가 열렸습니다. 실제로 입을 수 있는 엄연한 의상의 재료로서 활약했던 종이 패션의 역사를 돌아보는 자리였지요. 오랜만에 다시 보는 후세인 샬라얀의 ‘항공우편 드레스’가 반갑습니다. 

2010-07-26 |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활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글자는 곧 손글씨와 동의어였습니다. 문자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필기구를 쥔 손이었고, 글자와 손의 주인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육필이라는 말이 존재하듯이요. 하지만 글씨를 쓰는 손 대신 자판을 치는 손이 우세해졌고, 심지어 글자마저 지면을 떠나고 서체마저 물리적 몸체를 벗어나 디지털화된 지 오래입니다. 그러한 와중에 ‘손글씨 디지털 폰트’ 류가 글씨 쓰는 손과 자판을 치는 손의 공존을 도모하기도 합니다. 12년 전 오늘의 소식 ‘빠이롯트 핸드라이팅’도 그랬습니다.

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먼 기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2007-03-22 | 〈포브스〉 선정 산업디자인계 ‘취향생산자’ 10인

“〈포브스〉지 선정”이라는 표현이 이번에는 정말입니다. 2007년 〈포브스〉는 산업디자인 분야에서 취향을 만들어내 선도하는 사람들 10인의 명단을 선정했는데요. 신진이라 할 만한 인물들과 이미 거물이라 할 인물들이 고루 섞인, 15년 전의 명단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