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7 | 다운로드를 위한 디자인

Editor’s Comment

음악이나 영화처럼 디자인을 내려받는다면. 2011년 드로흐가 ‘다운로드용 디자인’을 위한 플랫폼을 발표했습니다. 생산 도구부터 판매 방식까지, 디자인을 둘러싼 환경이 디지털화되었다면, 아예 이를 겨냥해 그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보자는 발상입니다. 애석하게도 이제는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웹사이트 링크가 말해주듯, 드로흐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10년 전 제안된 디지털 디자인 플랫폼의 이야기를 되돌아봅니다.

1974년 엔초 마리(Enzo Mari)는 ‘자급자족 디자인(Autoprogettazione)’[i]이라는 이름으로 DIY 가구 설명서를 배포했다. 오늘날 많은 디자이너들이 이와 유사하게 완제품이 아닌 디자인 청사진을 판매한다. 제품에서 아이디어, 디자인만이 추출되어 상품이 되고, 제작은 소비자의 몫이 되는 식이다. 

드로흐(Droog)도 이와 유사한 개념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올해 말 문을 열 www.make-me.com은 ‘다운로드 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플랫폼이다. 오픈 디자인과 디지털의 가능성을 토대로, 디자이너와 제조사, 소비자를 위한 플랫폼을 마련한다는 것이 드로흐와 미디어길드(Mediagilde)의 목표다. 

제품 디자이너, 건축가, 패션 디자이너를 비롯하여, 디자인 브랜드, 디자인 학교 및 기관들이 플랫폼에 참여, 각자의 디자인 청사진을 판매할 것이다. 다운로드할 수 있는 디지털 파일의 형태로, 디자인들이 판매된다. 여기에는 소비자를 위한 맞춤화의 길도 열려 있다. 자신의 필요와 상황에 맞게 해당 디자인의 내용을 직접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디자인이 최종 결정되었다면, 남은 것은 이제 제작이다. 소비자가 직접 제작에 도전할 수도, 혹은 지역의 제조업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플랫폼의 또 다른 축은 제조사들이다. 소규모 공방, 3D 프린팅 전문 업체 등 지역 제조사들의 네트워크 역시 구축될 것이다.

드로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디자인에서 제조, 배급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개입하는 새로운 플랫폼을 만들려 한다. “디자인을 디지털 영역으로 이끌게 되면 여러 가지 가능성들이 열린다. 그저 운송이나 보관 상의 효율성만이 아니라, 새로운 디자인 접근 방식, 혁신적인 디지털 디자인 도구, 온라인 쇼핑 경험, 배급 참여자들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불러온다.” 또한 그것은 드로흐를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기도 할 것이다. 

지난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열린 ‘다운로드를 위한 디자인(Download for Design)’은 디지털 디자인 플랫폼을 예시하는 자리였다. 이벤트아키텍처(EventArchitectuur), 미날레-마에다(Minale-Maeda)가 디자인한 CNC 컷 탁자와 책상, 수납장, 그리고 3D 프린터로 제작된 전원 소켓 등이 전시를 통해 소개되었다. 더불어 일반 컴퓨터 사용자들이라면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을 디지털 디자인 도구들도 함께 선보였다. “프로세스의 핵심은 디자인을 단순화하고 더 많은 선택지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벤트아키텍처의 설명이다.

이벤트아키텍처, ‘박스오라마(Box-o-rama)’
이벤트아키텍처, ‘파사드 & 기능(Facades & Functions)’
미날레-마에다, ‘인사이드아웃(Inside-out)’ 가구 

www.droog.com

ⓒ designflux.co.kr


[i] 번역 수정: 자가디자인 -> 자급자족 디자인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2008-05-26 | 베이징 제로에너지 미디어월

베이징 지쿠이 엔터테인먼트 센터의 파사드는 2,292개의 LED로 채워진 초대형 미디어월입니다. 그것은 건물을 위한 영리한 스킨인 동시에, 미디어 작품이 상영되는 거대한 스크린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스크린은 태양광을 동력으로 삼지요. ‘제로에너지’를 표방한 미디어월, ‘그린픽스’를 다시 만나봅니다.

2011-03-04 | 부어 만들었습니다

콘크리트 액을 부어 탁자의 상판을 만든다면, 아마도 거푸집의 존재가 예상되겠지만, 스튜디오 글리테로의 ‘푸어드 바’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콘크리트 용액을 세 번에 걸쳐 층층이 부어 태어난 테이블의 상판은 그 모양도 질감도 자신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2010-07-13 | 포터블 라이트 프로젝트

햇빛을 모아 조명이 되기도 충전기가 되기도 하는 텍스타일이 있습니다. 플렉서블 광전지와 반도체 조명을 품은 텍스타일이라는 ‘빛나는’ 아이디어는 ‘포터블 라이트 프로젝트’라는 비영리 단체의 설립으로 이어졌고, 전력망의 바깥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밤을 밝혀주었죠. 2010년 오늘의 뉴스는 포터블 라이트 프로젝트 그리고 패션 매거진 〈엘르〉와 함께 전개한 자선 경매 행사 소식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