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28 | 아이들에게 안경을

Editor’s Comment

퓨즈프로젝트의 작업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중에는 ‘사회적 영향’이 있습니다. 2010년의 이 프로젝트도 그에 속하죠.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는 아이들의 시력이 학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시작된 무료 안경 배포 프로그램입니다. 퓨즈프로젝트는 안경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일 만한 유쾌한 모양의 안경을 디자인했습니다.

Boy (9-11) wearing white t-shirt, portrait

OLPC에 이어 다시 한 번, 이브 베하(Yves Behar)와 퓨즈프로젝트(Fuseproject)가 아이들을 위한 멋진 디자인에 나선다. 이브 베하와 그의 디자인 팀이, 멕시코 정부의 함께 무료 안경 제공 프로그램, ‘잘 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See Better To Learn Better)’을 전개한다.

연구에 따르면 취학 아동의 11%가 시력 문제 때문에 학업에 방해를 받는다고 한다. 칠판의 글씨가, 책의 글씨가 잘 보이지 않기에 벌어지는 일이다. 멕시코에서 이는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다. 모레요스, 소노라, 치아파스 주의 취학 아동 가운데 60~70%가 교정 렌즈를 필요로 하며, 시력 보정 안경이 필요한 아이들 50만 명이 매년 또 입학한다. 시력 검사 및 안경 구입 비용도 부담이지만, 아이들 역시 안경을 낀다는 사실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다. 안경을 끼면 놀림거리가 된다는 이유다.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다. 이브 베하와 퓨즈프로젝트 팀은 안경의 디자인에 특히 관심을 기울였다. 안경테의 소재로는 극도로 가볍고 유연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튼튼하다. 독특한 것은 안경테의 조립 방식이다. 안경테는 상하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기 다른 색상이나 모양의 프레임을 조합하면 재미 있는 안경테가 완성된다. 안경 착용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한 아이디어다. 

퓨즈프로젝트는 OLPC 개발 때와 비슷하게, 아이들의 요구와 생활, 환경에 부합하는 안경을 디자인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비영리적인 디자인 역시 영리적 목적의 작업만큼이나 감성적인 소구와 효율적인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이브 베하와 퓨즈프로젝트의 디자인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작업이기도 하다.

무료 안경의 배포는 바로 이달부터 시작되었다. 매년 30만 개의 안경이 멕시코 아이들에게 전달될 것이다. 안경 생산을 맡은 멕시코의 렌즈 생산 기업 아우헨(Augen)은 이 프로그램을 위해 엔세나다에 새 안경 생산 시설을 마련하며, 생산 비용을 50% 가까이 절감했다. 이는 무료 안경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긍정적인 기반이다. 한편 무료 안경 프로그램을 멕시코 이외의 국가로 확대하기 위한 논의도 진행 중이다. 이 안경이 앞으로 더욱 많은 아이들에게 선명한 세상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www.fuseproject.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6-25 | 앱솔루트 레인보우

성 소수자의 인권을 기념하는 프라이드 먼스 6월을 맞아, 2008년 앱솔루트의 병도 무지개 깃발을 둘렀습니다. ‘앱솔루트 컬러스’는 무지개 깃발 탄생 30주년을 기념하여, 앱솔루트가 바로 그 깃발의 디자이너 길버트 베이커와 함께 협업하여 선보인 첫 번째 프라이드 보틀입니다. 1978년 베이커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여섯 색상 무지개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상징이 되어 세계 곳곳에서 휘날렸고, 보다 다양한 정체성을 포용하기 위한 변주도 수없이 이뤄져, 베이커 본인도 2017년에는 9가지 색상의 무지개 깃발을 디자인했지요. 성소수자 자긍심의 상징. 무지개 깃발은 참고로 2015년 뉴욕 MoMA의 디자인 소장품 목록에 올랐습니다.

2011-10-18 | 새들에게 만찬을

새들을 위한 격식 있는 상차림. 디자이너 프레데릭 로이예의 ‘디시 오브 디자이어’는 본차이나와 레드시더우드 소재의 접시들이 층층이 매달린 새 모이통입니다. 몇 가지 ‘코스’의 차림인가, 즉 몇 개의 접시로 이뤄졌는가에 따라 모두 네 가지 종류로 구성되었죠. “깃털 달린 친구들”을 위한 멋진 소품입니다.

2011-11-03 | 쿠퍼휴잇, 디지털 서체 ‘클리어뷰’ 소장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소장한 최초의 디지털 서체는 고속도로 표지를 위해 태어난 ‘클리어뷰’입니다. 노년에 접어든 베이비붐 세대 운전자를 위해 태어난 도로표지판용 서체인데요. ‘클리어뷰’라는 이름답게 밤이면 빛 반사로 글자가 번져보이는 등 기존의 서체가 지녔던 문제를 개선하였습니다. 쿠퍼휴잇은 이 서체가 “사회적 참여로서의 디자인 사례”라는 데 주목하여 소장을 결정하였다고요. 

2011-04-05 | 아마노라 아파트 시티

MVRDV가 인도의 한 도시에 설계한 이 건물은 우리에게 무척 익숙해 보입니다. 낯익음은 그것이 아파트라는 데에서 비롯됩니다. 빽빽하게 사열한 창들이 보여주는 고밀도의 풍경은 우리에게 그리 낯설지 않지요. 다만 보통의 아파트 단지와 다르게, MVRDV는 독립된 여러 동이 단지를 이루는 대신에 여러 동이 하나의 건물을 이루는 배치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 형태는 산과 비슷하죠. MVRDV가 설계한 ‘퓨처 타워’는 2018년 완공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