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6 | 2010 상하이 엑스포 영국관

Editor’s Comment

신종바이러스의 시간을 지나며 각종 행사가 취소되거나 가상으로 전환된 지금, 사상 최대의 규모를 도모했던 2010년의 상하이 엑스포에서, 유독 눈에 띄는 디자인으로 뉴스로 오르내린 영국의 국가관 소식을 돌아봅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섬모형 매스의 파빌리온 ‘씨앗 전당’입니다. 

상하이 엑스포 개막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중국은 이번 행사에 베이징 올림픽 두 배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며, 사상 최대의 엑스포를 준비하고 있다. 엑스포에 참가할 200여 개국의 파빌리온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다면 역시 영국관일 것이다. 영국무역투자청(UKTI)이 지난 1일 자국관의 이미지들을 공개했다. 설계를 맡은 헤더윅 스튜디오(Heaterwick Studio)는 전방향으로 발산되는 ‘섬모’의 매스를 구상했다. 수많은 개인정원과 공공공원을 자랑하는 영국의 국가관답게, ‘씨앗 전당(Seed Cathedral)’은 자연을 닮았다. 

영국관 ‘씨앗 전당’은 6만 개의 투명 아크릴 막대들로 이뤄진 구조물로, 막대 하나하나마다 실제 식물의 씨앗과 조명 광원을 품고 있다. 낮 동안 광섬유의 역할을 하며 햇빛을 실내로 끌어들이고, 밤에는 반대로 막대 내부의 광원으로 건물을 밝힌다. 막대들의 길이는7.5미터. 바람이 불면 흔들릴 만큼 길쭉하다. 실제로 ‘씨앗 전당’은 바람에 따라 부드럽게 움직이며 역동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한편 ‘씨앗 전당’의 6만 개 막대들은, 엑스포 폐막 이후 중국과 영국의 학교 자재로 재활용될 예정이라고.

중국인들은 이미 이 건물에 “민들레홀씨”라는 애칭을 선사했다. 헤더윅 스튜디오의 ‘씨앗 전당’은 건축된 것이 자명한 주변 다른 국가관들 사이에서 더욱 두드러져 보일 것이다. 토마스 헤더윅은 말한다. “이처럼 복잡한 구조물을 완성하기까지 팀의 공헌은 막대했다. 건물이 완공되어 기쁘고, 행사 기간 동안 수백만의 방문객들이 이 곳을 즐길 수 있길 기대한다.”

www.heatherwick.com
www.uktradeinvest.gov.uk
www.expo2010.c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23 | 레고를 든 건축가들

〈아이콘〉 매거진 098호는 ‘장난감’ 특집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획이 진행되었습니다. 편집부는 런던의 유명 건축사무소 여러 곳에 ‘레고 아키텍처’ 세트를 안겨, 그것으로 새로운 건축 모형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1년 오늘의 소식에서 확인해보시죠.

2010-01-07 | OMA,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의 실패를 말하다

1995년 처음 열린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가 벌써 26차를 지났습니다. 지난 11월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은 그러나 기대 이하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라는 목표는 감축으로 완화되었고, 결국 탈석탄 성명에는 미국, 인도, 중국, 호주, 일본 등 석탄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서명이 빠졌습니다. 문제는 초국가적인데 해결의 단위는 국가라는 점이 문제일까요? 2009년 COP15의 ‘실패’에 관해 OMA의 레이니어르 더 흐라프는 그렇다고 보았습니다. 

2009-10-07 | 혼다 EV-N 콘셉트

2009 도쿄 모터쇼에서 혼다가 선보인 전기차 콘셉트 ‘EV-N’를 소개합니다. 전기차의 낯설음을 왕년의 클래식 경차 ‘N360’을 닮은 디자인으로 완화하였달까요. 사실 2009년은 최초의 양산형 전기차 닛산 ‘리프’가 출시되기 1년 전이고 테슬라의 ‘모델 S’가 출고되기 3년 전이니, 전기차 양산의 시대가 목전에 와 있었던 시점이었습니다. 그러나 혼다가 첫 양산 전기차를 내놓기까지는 그로부터 12년의 세월이 걸렸습니다. ‘EV-N’에서 ‘어번 EV’ 콘셉트를 거쳐, 2020년 마침내 혼다 최초의 전기차 ‘혼다-e’가 탄생했습니다.

2021-10-18 | 건축가 키쇼 쿠로카와 타계

건축가 키쇼 쿠로카와가 2007년 10월 12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급진적인 건축 운동이었던 메타볼리즘 사조의 선구자로서, 대표작인 나카긴 캡슐 타워는 도시의 변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는 건축이라는 개념을 유감 없이 보여주었지요. 그가 떠난 지 14년이 된 지금, 이제 나카긴 캡슐 타워도 퇴장합니다. 타워의 철거 계획은 이미 2007년에 전해졌지만, 건축 50주년을 맞은 올해 실제 철거가 시작된다는 소식입니다. 하지만 캡슐들이 그냥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해체한 캡슐들은 자리를 옮겨 전시, 숙박 등의 다른 용도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또 타워의 마지막을 담은 기록 서적도 내년 2월 출간된다고요.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