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Editor’s Comment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미국 포틀랜드에서는 미국산업디자인협회(IDSA)의 컨퍼런스, IDSA 웨스턴 디스트릭트(IDSA Western Distric Conference)가 개최되었다. 디자인플럭스의 콘텐츠 파트너 core77은 3일 간의 컨퍼런스 소식을 전했는데, 특히 인텔의 웬디 마치(Wendy March)가 제기한 논점에 관해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인텔 내 인간과 행동(People and Practices) 연구 그룹의 리더인 그녀는, “평범함”에 초점을 맞춘 발표로 청중의 호응을 얻었다. “미래는 평범할 것이다”라는 이름의 대담에서, 그녀는 일상의 평범한 관점이 미래 기술을 결정하는 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또한 평범함이라는 관점을 통해 무엇인가를 배운다는 것이 연구자에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등을 이야기했다. 40분간 진행된 강연을 통해 마치는 신선한 논지를 제기했다. 

IDSA WDC 2008 패널들의 모습. 우측에서 두 번째 인물이 웬디 마치이다. 

그녀는 인도, 브라질, 중국 등의 국가에서 사람들이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대한 연구를 몇 년간 수행해 왔는데, 연구의 관점은 첨단 기술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차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한 관점은 설득력 있는 주장을 낳는다. 위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디자인은 일상적이며 심지어 지루하기까지 한 행동들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대부분의 연구자들과 제품 개발자들의 시선 속에 잘 포착되지 않는 부분들이다. 

웬디 마치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우리는 사물을 막힘없이, 또 쉽게 만들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어쩌면 사람들은 막힘 없고 쉬운 것을 바라지 않는지도 모른다.”

그녀는 위와 같은 논지를 뒷받침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례를 들었다고. 일본의 한 주부와 가진 인터뷰에서, 마치는 그녀가 돈을 어떻게 쓰는지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이 주부는 매주 현금 다발을 직접 가지고, 각기 다른 3개 은행의 계좌 세 군데에 예금하고 있었다. 이 주부에게 온라인 뱅킹을 하는 편이 좋지 않겠느냐고 묻자, 그녀는 “온라인 예금은 너무 비싸고 또 너무 쉽다”고 대답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후자의 대답이다. 그것이 너무 쉽기 때문에 오히려 피하게 되는 것. 말하자면 은행까지 걸어가 그곳에서 직접 돈을 예금하는 그 모든 과정이, 이 주부가 돈을 관리 방법에 결합되어 있다.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3-15 | 언해피 힙스터

잡지에 소개될 만한 근사한 생활 공간을 삐딱하게 바라봅니다. 이름하여 ‘언해피 힙스터’라는 텀블러 블로그입니다. 벽을 대신한 창의 존재에서 창문 청소의 고단함을 예상한다거나, 이색적인 설계의 주택에서 건축주의 불만족을 상상하는 식이죠. 애석하게도 ‘언해피 힙스터’는 2015년 5월 18일 이후로 업데이트가 멈추었지만, 그래도 아예 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2010-09-27 | 마크 뉴슨: 운송

신발, 자전거, 자동차, 요트, 제트기, 우주선. 이들의 공통점은 ‘탈것’이라는 점입니다. 신발도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탈것일 테니까요. 2010년 뉴욕 가고시안 갤러리에서 디자이너 마크 뉴슨의 전시회 ‘운송’이 열렸습니다. 그가 디자인하였던 ‘사람을 싣고 어딘가로 가는 것’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그곳이 길 위든 저 멀리 우주든 말이지요.(...)

2007-11-29 | 당신의 기억보다 나은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의 ‘디자인 퍼포먼스’ 현장. 그곳에 디자이너 제이슨 밀러는 최면술사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지원자에게 최면을 걸고 인터뷰를 진행하여, 마음 속에 잠든 의미 있는 과거의 오브제를 찾아내, 새 디자인의 바탕으로 삼겠다는 것이었지요. 정말로 “더 나은” 결과물이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그의 퍼포먼스가 말 그대로 클라이언트의 “마음을 읽는” 디자인을 겨냥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2008-10-06 |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 x 로젠탈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와 로젠탈의 첫 번째 협업으로 탄생한 자기 컬렉션 ‘풍경’과 그 탄생 과정을 한자리에 모아 런던 디자인뮤지엄에서 전시가 열렸습니다. ‘순수 자기’ 전은 특정한 제품 컬렉션에 관한 전시이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라는 디자이너를 바라보는 전시이기도 했습니다. 가령 장식에 대한 그녀의 애정은 이 자기들에서도 유감 없이 표현되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