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Editor’s Comment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미국 포틀랜드에서는 미국산업디자인협회(IDSA)의 컨퍼런스, IDSA 웨스턴 디스트릭트(IDSA Western Distric Conference)가 개최되었다. 디자인플럭스의 콘텐츠 파트너 core77은 3일 간의 컨퍼런스 소식을 전했는데, 특히 인텔의 웬디 마치(Wendy March)가 제기한 논점에 관해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인텔 내 인간과 행동(People and Practices) 연구 그룹의 리더인 그녀는, “평범함”에 초점을 맞춘 발표로 청중의 호응을 얻었다. “미래는 평범할 것이다”라는 이름의 대담에서, 그녀는 일상의 평범한 관점이 미래 기술을 결정하는 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또한 평범함이라는 관점을 통해 무엇인가를 배운다는 것이 연구자에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등을 이야기했다. 40분간 진행된 강연을 통해 마치는 신선한 논지를 제기했다. 

IDSA WDC 2008 패널들의 모습. 우측에서 두 번째 인물이 웬디 마치이다. 

그녀는 인도, 브라질, 중국 등의 국가에서 사람들이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대한 연구를 몇 년간 수행해 왔는데, 연구의 관점은 첨단 기술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차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한 관점은 설득력 있는 주장을 낳는다. 위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디자인은 일상적이며 심지어 지루하기까지 한 행동들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대부분의 연구자들과 제품 개발자들의 시선 속에 잘 포착되지 않는 부분들이다. 

웬디 마치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우리는 사물을 막힘없이, 또 쉽게 만들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어쩌면 사람들은 막힘 없고 쉬운 것을 바라지 않는지도 모른다.”

그녀는 위와 같은 논지를 뒷받침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례를 들었다고. 일본의 한 주부와 가진 인터뷰에서, 마치는 그녀가 돈을 어떻게 쓰는지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이 주부는 매주 현금 다발을 직접 가지고, 각기 다른 3개 은행의 계좌 세 군데에 예금하고 있었다. 이 주부에게 온라인 뱅킹을 하는 편이 좋지 않겠느냐고 묻자, 그녀는 “온라인 예금은 너무 비싸고 또 너무 쉽다”고 대답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후자의 대답이다. 그것이 너무 쉽기 때문에 오히려 피하게 되는 것. 말하자면 은행까지 걸어가 그곳에서 직접 돈을 예금하는 그 모든 과정이, 이 주부가 돈을 관리 방법에 결합되어 있다.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11 | 죽기 전에 하고 싶은 것

조만간 사라질 운명의 빈 건물에 커다란 칠판이 설치되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는 동네 주민들의 희망과 소원이 적혔죠. ‘죽기 전에’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통해 캔디 창은 죽음을 앞둔 시한부 건물에 죽기 전에 이루고픈 바람을 모아냈습니다. 

2009-09-07 |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디자인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도 이 이름은 낯설지 않을 것입니다. 또 디자이너들의 디자이너이기도 하죠. 2009년 런던 디자인뮤지엄에서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전시가 열렸습니다. 전시는 디터 람스의 40년 커리어 중에서 약 12년 정도의 기간에 집중하며, 그 시기의 “랜드마크”라 할 제품 작업들을 통해, 디터 람스의 세계를 조명했습니다. 

2011-05-09 | BMW 구겐하임 랩

도시들을 여행하는 작은 도시 실험실. BMW 구겐하임 랩이 2011년 여정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하나의 주제로 2년 동안 세 개의 도시를 순회하는 주기의 첫 목적지는 뉴욕이었습니다. 본래 BMW 구겐하임 랩은 세 번의 주기, 즉 9개 도시 6년의 장정을 기획했지만, 랩의 여정은 뉴욕-베를린-뭄바이까지만 이어졌습니다.

2009-11-19 | 학원을 위한 사인 디자인

학교에 다니길 거부한 청소년들을 위해 출판사 이쿠신샤가 학원을 열었고, 노자이너가 이곳의 사인물 디자인을 맡았습니다. 학교는 아니지만 또 다른 배움과 성장의 장소가 될 이곳을 위해 노자이너가 택한 모티프는 자입니다. 자의 눈금을 응용한 단정하면서도 상징적인 사인물 디자인을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